각 언론사들 종편 준비 상황
방송법 통과 불법성 여부 헌재 결정 내리기도 전에
조·중·동 TF팀 꾸려 박차…매경·YTN도 팀 구성
방통위는 기업에 참여 압박…법 통과 기정사실화
조·중·동 TF팀 꾸려 박차…매경·YTN도 팀 구성
방통위는 기업에 참여 압박…법 통과 기정사실화
종합편성채널 진출을 노리는 언론사들의 물밑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10여개의 컨소시엄이 움직인다는 말까지 나돈다.
헌법재판소가 한나라당 방송법 처리의 불법성 여부를 결정하기도 전에 방송통신위원회가 사업자 선정 작업을 강행하면서, 기업들의 종편 준비를 부추기고 방송법 통과를 기정사실화하려 한다는 비판이 높다.
<중앙일보>는 14일 김수길 부발행인과 김교준 논설실장을 각각 방송본부장과 방송사업추진단장으로 임명하며 종편 사업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중앙은 신문사들 중 가장 체계적으로 방송을 준비해왔다는 사실을 자신감의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중앙 관계자는 “돈 많고 컨소시엄 잘했다고 방송도 잘하나. (사업자 선정) 심사위원들은 그동안 쌓아온 방송 역량을 평가할 것”이라며 “‘터너 브로드캐스팅’이란 세계적 미디어그룹이 투자한 국내 언론은 중앙이 처음이다. 그쪽과 관계 맺어서 엮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선일보>도 다수의 실무팀을 배치해 종편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6월 초 방상훈 사장이 “방송하면 신문이 빨리 망한다”고 발언한 이후 방송사업에 유보적 태도를 보였던 조선은 지난달 말 방송 진출로 방향을 급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방송·통신업계에선 조선이 케이티(KT)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자금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는 설이 파다하다. 한 지상파방송사 관계자는 “일반 대기업들은 특정 신문사와 손잡길 꺼리지만 케이티는 정부 입김이 센 주인 없는 민간회사”라며 조선-케이티 제휴의 현실화 가능성을 내다봤다. 조선 관계자는 “방송사업에 대해선 어떤 말도 해줄 수 없다”며 확인을 거부했다.
자사 출신 정권 실세인 최시중 방통위원장과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을 소통 라인으로 둔 <동아일보>도 다양한 경로로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민일보>는 지난달 말 백화종 전무가 총괄하는 ‘미디어전략팀’을 구성해 10여명의 인력을 배치했다.
<매일경제>와 <와이티엔>(YTN)은 종편 진출 및 사업 검토를 대외적으로 천명하며 주요 후보군에 진입하기 위한 ‘여론전’을 병행하고 있다. 매경은 5월 설치한 ‘종편 태스크포스팀’을 지난달 23일 ‘글로벌 매경종편 설립 추진위원회’로 확대 개편하고, 장대환 회장이 직접 위원장을 맡았다.
와이티엔은 배석규 대표이사(전무)가 사장 직무대행을 맡은 지 이틀 만인 6일 종편 진출 검토를 위한 태스크포스팀 구성 사실을 보도자료를 내 공표했다. 코스닥 상장기업인 와이티엔 주가는 이날 5130원에서 10일 한때 6380원까지 치솟으며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와이티엔 관계자는 “방송법 통과를 전제로 종편에 진출하면 향후 민영화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이 인수합병 테마주로 분류된 와이티엔 주식을 적극 매수했기 때문”이라며 “사내에선 상암동 사옥 이전까지 추진하는 현실에서 무리한 종편 진출은 회사 경영을 위태롭게 할 것이란 우려가 많다”고 말했다.
문제는 방통위의 태도다. 통신업계에선 방통위가 종편 진출에 부정적인 기업들에 컨소시엄 참여를 설득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곳곳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케이티 관계자도 “방통위와 정치권, 미디어업계 등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컨소시엄 참여 압박을 받고 있는 걸로 안다”고 전했다. 그러나 방통위 관계자는 “(종편 참여 압박설은)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밝혔다.
김영호 언론개혁시민연대 대표는 “이건희 전 삼성 회장의 에스디에스(SDS) 배임 유죄 건을 중앙일보가 짧게 처리(15일치 신문)한 것만 봐도 ‘조중동 방송’이 ‘재벌 방패용’으로 전락할 것은 뻔하다”며 “만일 거대 통신기업들이 조중동과 손잡고 방송에 들어간다면 시민·사회단체의 광범위한 불매운동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문영 박창섭 기자 moon0@hani.co.kr
김영호 언론개혁시민연대 대표는 “이건희 전 삼성 회장의 에스디에스(SDS) 배임 유죄 건을 중앙일보가 짧게 처리(15일치 신문)한 것만 봐도 ‘조중동 방송’이 ‘재벌 방패용’으로 전락할 것은 뻔하다”며 “만일 거대 통신기업들이 조중동과 손잡고 방송에 들어간다면 시민·사회단체의 광범위한 불매운동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문영 박창섭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