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헌 민주당 간사와 의원들이 2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KBS 김인규 사장 후보 선출과 관련해 정회를 요구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KBS노조, 출근저지 예고
김인규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장의 <한국방송>(KBS) 사장 최종 후보 선출을 두고 후폭풍이 거세다. 야당 의원들은 이명박 대통령 선거참모의 공영방송 사장 선출을 ‘방송 장악’이라며 공세를 취했고, 언론·시민·사회단체들은 김 회장의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20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회의에서 전병헌 민주당 의원은 “김 회장은 청와대를 등에 업고 통신사로부터 거액의 기금을 출연받기 위해 부적절한 처신을 해 지난 국감에서 논란이 됐던 분”이라며 “그 장본인이 공영방송 사장으로 투하됐으니 문방위는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 기금 조성) 진상조사소위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창수 자유선진당 의원도 “김 회장의 한국방송 사장 추천을 보면서 엠비(MB)의 막가파식 질주가 계속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대통령 후보의 언론특보를 지낸 사람이 어떻게 공영방송의 수장이 될 수 있느냐”고 따졌다.
반면 진성호 한나라당 의원은 “김 회장은 엠비(MB) 특보만 한 게 아니라 30년 이상 한국방송 기자·뉴미디어 이사를 하며 사랑과 정열을 한국방송에 쏟은 분”이라고 두둔했다. 나경원 한나라당 의원은 “자격이 없는 사람을 정권의 외압으로 임명하는 것이 낙하산이지, 한국방송 공채 1기인 김 회장을 낙하산 인사라고 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문방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성명을 내어 “(김 회장을 사장에 임명하는 건) 이명박 정권이 최소한의 염치와 상식도 팽개치고, 그들의 영구 장기집권을 위한 ‘방송 장악 야욕’을 끝끝내 채우고 말겠다는 탐욕의 결과”라며 “이 대통령은 김인규씨 제청을 거부하고 재선정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언론·시민·사회단체의 비판도 분출했다. 미디어행동은 이날 오후 한국방송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 회장의 압도적 득표는) 청와대 입김이 작용하지 않고서는 나올 수 없는 결과”라며 “이명박 정부가 기어이 특보 출신의 사장을 내려앉혀 공영방송 정치 장악에 돌입하겠다는 것은 케이비에스 구성원에 대한 도발이자 시민사회에 대한 폭거”라고 반발했다.
전국언론노조도 이날 성명을 내어 “(최근 법원의 언론 장악 위법 판결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김 회장 선출은) 권력이 시민사회의 정당한 비판을 묵살하고 사법적 판결까지도 무시하는 명백한 독재이자 민주주의의 근간을 뿌리째 흔드는 반헌법적 행위”라며 김 회장의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한국피디연합회도 성명에서 “정권의 하수인 노릇에만 골몰한 케이비에스 이사회는 향후 낙하산 사장으로 발생하게 될 모든 혼란과 케이비에스가 겪게 될 오욕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규 사장 선출 때 정권퇴진 운동 돌입’을 선언한 한국방송 노조는 이날 상임집행위원회를 열어 향후 대응 전략 마련에 부산하게 움직였다. 노조는 23일 오후 비상대책위원회를 열어 총파업을 결의하고 파업투표 일정을 내놓을 계획이다. 김 사장 내정자 첫 출근일인 24일부턴 본관 주차장 주변에서 ‘강도 높은’ 출근저지투쟁을 시작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문영 이유주현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