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채널 등 특혜땐 지역방송 생존 어려워” 비판
지역방송 29개 사가 뭉쳤다. 이명박 정부의 언론정책으로 지역언론의 생존과 공공성·다양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다.
지역 <문화방송>(MBC) 19개 사와 전국 10개 지역 민영방송(<오비에스> 포함)은 전날 대구 문화방송 스튜디오에서 공동으로 진행한 ‘지역방송이 살아야 지역이 산다’ 토론회를 26일 밤 동시다발로 텔레비전에 내보냈다. 언론 현안을 주제로 한 지역방송 공동 중계는 이번이 처음이다. 29개 방송사는 이날 밤 12시20분 전후로 100분 동안 토론 내용을 중계했다.
25일 토론회는 종합편성채널이 지역방송에 미치는 영향에 첫 초점을 맞췄다. 정상윤 경남대 교수는 “전국적으로 의무재전송을 보장받는 종편이 탄생하면 지역 지상파방송보다 훨씬 큰 영향력을 확보해, 지역사회 여론을 형성해온 지역방송은 큰 경영난에 처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양문석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도 “한나라당 미디어법의 가장 핵심적 문제는 의무재전송 및 광고제한 품목 완화, 황금채널 등을 종편에 부여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지역방송을 고사시키는 전형적인 특혜”라고 비판했다.
민영미디어렙에도 ‘지역방송 역할 훼손’ 우려가 쏟아졌다. 전병헌 민주당 의원은 “방송광고 판매를 시장경쟁에 맡기면 취약 매체는 수년 내 고사될 수밖에 없다”며 “지역방송과 종교방송에 대해선 사회 공공성 보호라는 측면에서 연계판매 및 할당판매 비율을 법률에 명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성호 한나라당 의원은 “(1공영 다민영을 원칙으로 하되) 3년 동안 1공영 1민영 체제로 운영하고 한국방송광고공사가 보유한 자산(방송회관 등)으로 조 단위의 기금을 마련해 지역·종교방송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