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쪽 일방통행에 “원상복구를”
92% “김재철 사장 연임 반대”
92% “김재철 사장 연임 반대”
<문화방송>(MBC)이 지난해 4월 총파업에 이어 또다시 격랑에 휩싸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14일 사쪽의 일방적인 단체협약 파기 통보로 노조의 반발이 거세다. 총파업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태도다. 2월 중순 새 사장 선임을 앞두고 김재철 사장의 연임 반대 기류도 확산되고 있다.
노조는 사쪽의 단협 파기 통보에 따라 17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 중재를 신청했다. 중노위에선 노사가 1차로 15일 동안 교섭에 나서는데 조정에 실패하면 추가로 15일이 주어진다. 노조는 사쪽의 교섭 태도와 중노위 중재 상황에 따라 파업 찬반 투표를 실시할 방침이다. 연보흠 노조 홍보국장은 “파업 찬반 투표를 통한 총파업 카드로 단협의 원상 복구를 사쪽에 요구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단협의 핵심 쟁점은 ‘국장 책임제’ 조항이다. 현행 단협은 편성·보도·제작의 실무 책임과 권한을 관련 국·실장에게 두는 ‘국장 책임제’를 명시하고 있으나 사쪽은 ‘본부장 책임제’를 명문화하겠다는 태도다. 노조는 18일 특보를 통해 “노조 출범 22년 동안 단협 해지 통보는 초유의 사태”라며 “정치적 외풍을 막는 최소한의 견제 장치인 국장 책임제는 양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진숙 문화방송 홍보국장은 “현행 단협은 권한은 국장에게 있고 책임은 본부장 등 사쪽 경영진에게 있는 기형적인 구조”라며 “이를 바로잡겠다는 게 사쪽 입장”이라고 말했다.
단협과 연동해 새 사장 선임 문제도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문화방송 내부에선 사쪽의 단협 파기가 김 사장의 연임 의지에서 비롯됐다는 인식이 적지 않다. 정상모 방송문화진흥회 야당 추천 이사는 “김 사장 잔여 임기가 한달가량 남은 시점에서 단협 해지를 통보한 것은 (여권 쪽의) 재신임을 노린 의도가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쪽은 단협 협상은 지난해 10월부터 진행된 사안으로 김 사장 연임과는 무관한 일이라며 선을 긋고 있다.
문화방송은 27일부터 새 사장 공모를 시작해 늦어도 2월 중순까진 선임 일정을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방문진 이사들이 후보들을 면접한 뒤 투표를 거쳐 재적(9명) 과반수 득표자 한명을 추천하고 주주총회에서 결정된다. 현재 김 사장은 연임 의사가 확정적인 걸로 알려진 가운데 문화방송 전·현직 사장급 임원 3명이 공모를 준비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내부 구성원들은 김 사장 연임에 대해 부정적 시각이 많다. 노조는 24일 김 사장 취임 1년을 맞아 전체 조합원 1010명 가운데 6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발표했는데 92.4%(613명)가 ‘김 사장 연임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고진 방문진 야당 추천 이사는 “노사 관계는 악화됐고 뉴스 경쟁력과 시청률은 크게 떨어졌다”며 “문제는 이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