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사1렙은 사실상 직접영업
1공영1민영 체제 바람직
1공영1민영 체제 바람직
지역방송노조협 긴급토론회
종합편성채널의 독자적인 광고 영업을 막기 위해서라도 미디어렙 법을 올 상반기 안에 서둘러 통과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재 케이블 피피(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직접 광고영업을 할 수 있어, 종편을 광고 위탁판매 대상에 포함시키는 쪽으로 미디어렙 법안을 처리하지 못할 경우 올 하반기 개국이 예상되는 종편의 직접 광고 영업을 제어하기 힘들다.
민주당 최문순 의원과 지역방송노조협의회 공동 주관으로 10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종편 특혜 저지와 지역방송 생존권 보장 위한 긴급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조준상 공공미디어연구소장은 “미디어렙 법안이 올 상반기 확정되지 않으면 종편은 기존 피피들과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광고영업이나 협찬 강요를 밀어붙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럴 경우 자사가 소유한 신문의 지면광고를 방송광고와 연계해 판매하는 ‘결합상품’의 등장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조 소장은 미디어렙 법안 내용에 대해선 “엠비시는 ‘1사1렙안’을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상 직접 영업과 다를 바 없다”며 “엠비시가 자체 미디어렙을 소유하면 공영방송의 붕괴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는 점에서 공영 미디어렙을 통한 방송광고 판매 대행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지상파인 <문화방송>(MBC) <에스비에스>(SBS)가 각각 독자적인 미디어렙을 통해 광고를 파는 ‘1사1렙’이 아니라, 제한적인 경쟁 체제인 ‘1공영1민영’ 방식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최문순 의원은 토론에서 “정부와 한나라당이 2주 전 당정협의에서 ‘미디어렙 조속히 처리’, ‘미디어렙은 1사1렙으로’, ‘종편 직접영업 허용’ 3가지를 합의했다”며 “종편 직접영업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국회 논의과정에서 충돌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현재 국회엔 모두 6가지 미디어렙 법안이 제출되어 있다.
토론자로 나선 최동호 <광주방송>(KBC) 경영국 차장은 “종편은 직접판매가 아닌 위탁판매 영역에 둬야 한다”며 “종편이 광고주와 직접 접촉에 나서면 사회적 건전성과 투명성을 제고해야 할 보도기능이 약화될 게 뻔하다”고 밝혔다.
또다른 토론자인 김낙곤 광주문화방송 기자는 “종편이 (신문을 답습해) 대학, 의료기관, 지자체 등과 연동해 주문형 기사들을 쏟아낼 수 있다”며 “이 경우 언론의 공공성은 완전히 무너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민기 숭실대 교수는 토론에서 “현재 광고시장을 감안하면 종편이 공멸할 가능성이 있는데 그 이전에 취약매체들이 먼저 죽게 될 것”이라며 “지역방송의 전파료 배분비율을 확대하거나 서울 본사와의 프로그램 교류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파트너십을 정립하도록 하는 등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김민기 숭실대 교수는 토론에서 “현재 광고시장을 감안하면 종편이 공멸할 가능성이 있는데 그 이전에 취약매체들이 먼저 죽게 될 것”이라며 “지역방송의 전파료 배분비율을 확대하거나 서울 본사와의 프로그램 교류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파트너십을 정립하도록 하는 등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