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노동부)의 정책 및 홍보 광고가 최근 2년간 일부 보수신문에 집중된 사실이 드러났다.
4일 이미경 민주당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이 지난 25일 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고용노동부의 홍보비 지출 내역’(2009~2010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동부가 2009년과 지난해 2년 동안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등 현 정부에 비교적 우호적인 논조를 보이는 신문사에 지출한 각 사별 광고비는 1억790만~1억2340만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한겨레>는 1300만원, <경향신문>은 2470만원에 그쳤다.
노동부 광고를 가장 많이 받은 신문사는 중앙일보로 2009년부터 2년간 14차례에 걸쳐 1억2340만원 규모의 광고를 실었다. 이는 같은 기간 광고를 가장 적게 받은 <한겨레>에 비해 9배 이상 많은 것이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각각 1억2170만원(12차례), 1억790만원(11차례) 규모의 광고를, 문화일보의 경우 26차례에 걸쳐 1억1655만원의 광고를 받았다. 반면, 같은 기간 노동부가 한겨레에 집행한 광고비는 두 차례 1300만원에 불과했다. 경향신문의 노동부 광고도 같은 기간 4차례 2470만원에 그쳤다.
조중동은 물론 경제지인 <매일경제>와 <한국경제>가 8191여만원(17차례), 6465만원(16차례)의 광고를 받은 것과 적잖은 차이를 보이는 대목이다. 무가지인 <메트로>와 <이브닝>의 광고비도 각각 2803만원(8차례), 1512만원(6차례)으로 한겨레와 경향보다 많거나 비슷했다.
노동부의 보수 신문 광고 편중은 2009년에 견줘 지난해에 특히 심해졌다. 노동부는 지난해 38개 신문·방송에 151건, 7억1162여만원의 광고비를 집행했다. 이 가운데 동아일보에는 8420만원(8차례), 문화일보에 7620만원(17차례), 조선일보 5290만원(6차례), 중앙일보 6160만원(8차례)으로 이들 4개사에 매경, 한경을 더한 6개 매체의 광고비(3억6695만원, 60차례)가 나머지 32개 매체의 광고비보다 많았다. 한겨레의 경우 지난해 노동부 광고가 단 한 건도 없었다. 경향신문 역시 지난해 1차례 550만원으로 금액과 횟수가 줄었다.
이미경 의원은 “노동부가 국민의 세금이 쓰이는 정부 광고를 자신들 입맛대로 집행하고 있다”며 “정부에 우호적인 매체에는 광고를 몰아주고, 정부에 비판적인 언론에는 광고를 끊어 길들여보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고 말했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