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KBS) 탐사보도팀장을 지낸 22년차 기자가 ‘KBS 기자 도청 의혹’과 관련해 김인규 <한국방송> 사장이 “직접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김의철 <한국방송> 기자는 18일 사내게시판 ‘코비스’에 올린 글을 통해 도청 의혹에 대한 <한국방송>과 김 사장의 책임 회피 태도에 대해 정면으로 일침을 가했다. 김 기자는 1990년 입사한 ‘고참급’ 기자로 탐사보도팀장 등을 지냈으며 현재 외교안보연구원에서 연수중이다.
김 기자는 “초년병 시절 선배들로부터 배운대로 그냥 선배라고 부르겠습니다”라며 김 사장을 향해 말문을 열었다. 그는 “KBS가 도청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받으면서 같이 교육받는 고위 공직자들로부터 한마디씩 들을 때마다 쥐구멍이라도 들어가고 싶은 심정”이라며 구성원으로서 겪는 부끄러움을 털어 놓았다.
김 기자는 “‘KBS의 도청의혹’이 사실이 아닐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면서도 “일반 국민들의 생각은 조금 다른 것 같다. 일부 사람들은 ‘KBS의 도청의혹’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게 엄중한데도 최근 회사의 대응은 너무 안이하다”며 “입장 발표 주체가 점차 오그라들고 해명 내용도 조금씩 달라지면서 말 바꾸기 논란까지 빚어지고 있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 난관을 돌파할 수 있는 첩경”으로 “김 선배(김인규 사장)가 직접 나서야 한다”고 제기했다. “내가 직을 걸고 말하겠다.” “KBS기자 어느 누구도 도청한 사실이 없다.” “KBS 기자 어느 누구도 한나라등에 녹취록을 넘겨주지 않았다.” 이 세 마디가 “(김인규 사장에게) 국민들이 간절히 듣고 싶은 말”이라고 김 기자는 주장했다. 그는 “이 말씀을 하신 뒤에 지금까지 아무런 근거없이 우리 KBS의 명예를 훼손한 언론사는 물론 민주당에게도 추상같은 법적인 책임을 물으라”고 덧붙였다.
김 기자는 이와 같은 조처가 없으면 “해당 기자는 평생 ‘도청 혐의자’라는 낙인이 찍힌 채 살아가야 할지도 모른다”며 “모든 사실을 명명백백히 밝힌 다음에 국민들의 법적, 도덕적 평가를 받으면 된다”고 거듭 투명한 공개를 강조했다.
권오성 기자 트위터 @5thsage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