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노조 조합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공개
“연루됐다” 97%…“의혹 못 밝힐 것” 95%
“연루됐다” 97%…“의혹 못 밝힐 것” 95%
한국방송 구성원들 절대다수는 한국방송의 도청사건 의혹에 대해 “한국방송이 연루됐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방송 평기자 166인, 피디 148명이 실명으로 김인규 한국방송 사장에게 ‘진실 공개’를 압박하고 나선 데 이어 한국방송 대다수가 사실상 한국방송이 도청했다고 응답함으로써 사쪽은 사태해결에 상당한 부담감을 짊어지게 됐다.
한국방송 새노조는 20일부터 25일까지 조합원중 사내게시판 커뮤니티 ‘코비스’에 가입한 1063명을 대상으로 도청 의혹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567명(응답률 53%)중 97%(548명)가 이른바 ‘국회 도청 사건’에 한국방송이 연루됐을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했다고 26일 노보를 통해 밝혔다.
또 96%(545명)는 “도청 의혹에 대한 한국방송 사쪽의 입장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97%(550명)는 “경찰 수사와 별개로 김인규 사장의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86%(485명)는 도청의혹이 불거진 근본적 원인으로 ‘한국방송 경영진의 무리한 수신료 인상추진’을 꼽았다.
9%(49명)는 ‘한국방송 정치부의 잘못된 취재관행’을 지적했으며, ‘민주당의 수신료 합의파기’와 ‘한국방송에 대한 정치적 음해’라는 답변은 각각 2%(9명)에 머물렀다. 그러나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람중 95%(536명)가 “경찰수사가 도청의혹에 대한 실체적 진실을 밝힐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밝히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해 경찰수사에 상당한 불신감을 표시했다.
한국방송 정치부가 지난 11일 “제3자의 도움으로 민주당 회의내용을 파악했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74%(420명)가 “제3자의 신원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한국방송 사쪽은 “도청의혹 사건은 특정 정치집단의 주장과 일부 언론 등이 제기한 의혹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되면 공사의 명예가 훼손될 수 있다”는 이유로 25일 저녁 서울남부지법에 ‘공표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으나 새 노조쪽은 결과 공표를 강행했다.
새 노조는 노보를 통해 “우선 명예훼손의 당사자는 사쪽이다. 지난 6월28일 도청의혹의 당사자가 ‘이해관계자’에서 ‘한국방송’으로 의혹이 집중될 때 수수방관했던 주체는 바로 사쪽”이라고 지적하고 “취재·제작 일선 수백명의 한국방송인들이 사쪽의 입장을 명확히 하라는 촉구에도 묵묵부답이었던 사측이 우리 조합을 상대로 명예훼손 운운하는 것 자체가 적반하장”이라고 반박했다.
디지털뉴스팀
디지털뉴스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