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동아 등 보수신문의 종합편성방송(종편)이 방송사 광고판매 대행사인 미디어렙을 통하지 않고 앞으로 2년간 직접 영업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뼈대로 하는 미디어렙 법안이 26일 여야 합의로 사실상 타결됐다.
한나라당의 이명규, 민주당의 노영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협상을 벌여 미디어렙 법안에 대한 의견을 최종 조율했다. 협상 결과를 보면, 조중동 종편의 미디어렙 적용을 2년 동안 유예하고, 방송사의 미디어렙 지분 소유는 40%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또 <문화방송>을 공영 미디어렙으로 묶어 독자적인 렙을 설치하지 못하도록 했다.
그러나 문화방송(MBC)은 이날 방송한 자사 뉴스 프로그램을 통해 에스비에스에 이어 독자적인 미디어렙(가칭 엠비시 미디어렙)을 설립한 뒤 직접 광고영업에 나서겠다고 밝혀 입법 과정에서 마찰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그동안 종편사들이 요구한 크로스미디어(교차판매) 허용과 미디어렙 지분 소유 40%를 관철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이날 협상에서 종편 미디어렙 적용을 2년간 유예하기로 야당과 합의하면서 크로스미디어는 허용하지 않기로 절충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로스미디어는 미디어렙에서 신문·방송 광고영업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그동안 신문·방송을 함께 소유한 종편사들이 허용을 요구해왔다.
이태희 기자, 문현숙 선임기자 herme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