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민영화 강행 방침’ 파문
MBC “전임사장들도 연구”
전임사장 대부분 “논의안해…
구성원 대부분 반대”
보수단체 등 민영화 요구
사내 소수그룹도 주장
“상장시 주가상승 기대” 눈총
MBC “전임사장들도 연구”
전임사장 대부분 “논의안해…
구성원 대부분 반대”
보수단체 등 민영화 요구
사내 소수그룹도 주장
“상장시 주가상승 기대” 눈총
<문화방송>(MBC) 경영진이 논란에도 불구하고 정수장학회의 지분 매각을 통한 민영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뜻을 밝혀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문화방송은 16일 ‘특보’를 통해 “방송시장은 경쟁시대로 돌입했으며, 지금의 소유구조 체제로는 수년 안에 큰 위기에 봉착할 것”이라며 소유구조 변경 강행 방침을 밝혔다. 전날엔 “정치권력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민영화를 추진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학계와 문화방송 구성원들 사이에서는 민영화안이 진정으로 문화방송의 미래를 위한 행보냐에 대해 회의적인 의견이 많다. 김경환 상지대 교수(언론학)는 “불공정 보도로 공영방송을 흔들어놓은 ‘낙하산 사장’이 정치적 독립을 거론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며 “국민의 재산을 사회적 합의 없이 팔게 되면 정당성 시비에 이어 누구에게 팔 것인지를 놓고 다시 특혜 시비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문화방송 쪽에서는 김우룡 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 시절 포스코 방식의 민영화를 검토한 바 있다. 하지만 방송과 제조기업은 성격 차이가 엄연할 뿐만 아니라, 포스코 사례는 민영화 뒤에도 정치권력의 개입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영하 문화방송 노조위원장도 “정치적 독립성은 제도 보완으로 가능한데, 민영화가 되면 자본권력으로부터의 독립성을 포기하게 되고 재벌개혁을 이야기하지 못하게 된다”고 말했다.
문화방송 사쪽은 “전임 사장들도 몇 차례 민영화 방안을 연구한 바 있다”고 밝히고 있다. 김우룡 이사장 시절의 엄기영 사장을 두고 하는 말이지만, 이 방안은 노조와 시민사회의 반발로 바로 수면 밑으로 들어간 탓에 구성원들은 이번 민영화안에 “뜬금없다”는 반응이다. 전임 사장인 김중배 언론광장 대표는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재임중 이를 논의한 적은 없었다”며 “민영화는 방향이 옳은지와 방법론 등 간단치 않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역시 문화방송 사장 출신인 최문순 강원도지사도 “구성원 대부분이 반대하기 때문에 이를 논의한 적이 없다”며 “되레 문화방송을 공격하는 세력들이 끊임없이 민영화를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간의 문화방송 민영화 논의는 두 가지 흐름에서 볼 수 있다. 김대중 정부 시절 방송개혁위원회가 방송 개혁 차원에서 다양한 방안 중의 하나로 단계적 민영화를 검토 대상으로 삼은 바 있다.
또 하나의 흐름은 보수단체 등 기득권 세력의 민영화 압박이다. 문화방송이 상업방송이 되면 <피디수첩> 등 권력 비판 프로그램은 광고주 눈치를 살피느라 위축될 수밖에 없다. 문화방송에 대한 정책 규제나 광고 통제 강화를 노리는 발상이다.
문화방송 안에서도 민영화를 주장해온 소수 그룹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성원은 이들의 민영화론이 사익 추구 행위라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문화방송의 한 피디는 “이들의 민영화 주장은 문화방송의 미래보다는 지분 취득과 상장시 주가 상승을 기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관련 영상] ‘MB 남자’ 김재철의 정수장학회 커넥션? [김뉴타 193]
<한겨레 인기기사>
■ “1억 받은 은진수보다 정봉주가 더 나쁘냐”
■ MB 장남 이시형 출국금지…큰형은 어제 돌연 출국
■ 배신이 낳은 폭로와 자살…충북판 ‘더러운 공천전쟁’
■ “고객돈으로 부유층 자녀 지원”-“사회공헌” 외환은행, 하나고 250억 출연 논란
■ 중간고사 문제를 학생이 미리 풀고 있더니…
■ 니가 고생이다 아빠를 잘못 만나서
■ [화보] 청군 이겨라! 백군 이겨라!

■ “1억 받은 은진수보다 정봉주가 더 나쁘냐”
■ MB 장남 이시형 출국금지…큰형은 어제 돌연 출국
■ 배신이 낳은 폭로와 자살…충북판 ‘더러운 공천전쟁’
■ “고객돈으로 부유층 자녀 지원”-“사회공헌” 외환은행, 하나고 250억 출연 논란
■ 중간고사 문제를 학생이 미리 풀고 있더니…
■ 니가 고생이다 아빠를 잘못 만나서
■ [화보] 청군 이겨라! 백군 이겨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