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통 크면 보수”라는 식의 뉴스를 내보낸 <문화방송> 뉴스데스크/뉴스데스크 화면 갈무리
“알통 크면 보수?” 황당한 MBC 뉴스
“알통 굵기가 정치적 신념 좌우해” 보도
누리꾼 “논문을 오독한 뉴스”라며 비판
“오른쪽 알통 크면 보수 우파?” 비꼬기도
“알통 굵기가 정치적 신념 좌우해” 보도
누리꾼 “논문을 오독한 뉴스”라며 비판
“오른쪽 알통 크면 보수 우파?” 비꼬기도
<문화방송>(MBC)이 ‘알통 굵기가 정치적 신념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도해 논란이 일고 있다. 누리꾼들은 ‘황당할 뿐 아니라 관련 논문을 자의적으로 해석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18일 방송된 ‘뉴스데스크’에서 <문화방송>은 “신념은 어느 정도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며 또 육체적인 힘이 영향을 미친다는 흥미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며 ‘알통 굵기 정치 신념 좌우’, ‘정치 성향도 유전자 따라?’ 등 관련 기사를 두 꼭지로 나눠 보도했다. 해당 논문은 지난해 10월 영국 <이코노미스트>지가 소개한 내용이다.
<문화방송>의 ‘알통 굵기 정치 신념 좌우’ 보도에는 알통 둘레가 각각 35cm, 31cm인 두 남성 사례자가 등장한다. 알통 굵기가 35cm인 남성은 인터뷰에서 “국가의 과도한 세금은 지나치다”고 답했고 31cm인 남성은 “세금을 거둬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건 국가의 의무이고 책임”이라고 답했다. <문화방송>은 화면 상단에 “알통 크면 보수?”라는 자막을 달아 ‘알통이 크면 보수고 알통이 작으면 진보’인 것처럼 보도했다.
그러나 누리꾼들 사이에선 <문화방송>의 보도가 ‘논문을 오독한 것’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이코노미스트>가 보도한 논문은 “근육질의 남성일수록 자기 이익에 부합하는 정치적 의사 결정을 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근육질인 사람들은 계급에 따라 정치성향이 결정되지만, 마른 사람들은 그런 경향이 훨씬 덜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논리 대로라면 부자 계급인 근육질 남성은 계급의 성향에 따라 소득 재분배에 반대하더라도 가난한 계급의 근육질 남성은 소득 재분배에 찬성할 수 있다. 알통 굵기에 따라 보수·진보를 나눈 <문화방송>의 보도와는 거리가 있다.
이날 트위터에서는 <문화방송>의 ‘알통 뉴스’를 조롱하는 의견이 쏟아졌다.
진중권 동양대 교수(@unheim)는 “오늘의 개그”라고 적었으며, 언론인 고종석(@kohjongsok)씨는 “MBC 뉴스데스크 알통뉴스는 초대형 방송사고”라고 비판했다. 이정희 통합진보당 전 대선후보(@heenews)도 “하도 어이없어 얼른 머리에서 지워버리려 애썼는데 안 지워진다. 기억해둘 수밖에 없다. 2013년 2월의 공중파 뉴스가 어디까지 갔는지”라고 개탄했다.
“요새 운동을 너무 안해서 팔굽혀펴기를 좀 했는데 오른쪽 알통만 나온다. 난 이제 보수 우파가 되어가는가”(@trans****), “그래, 니 알통 굵다. 열받는 관장님들 많겠는데(@open****)”, “알통같은 신체의 특징을 토대로 인종의 우월성이나 정치적 성향을 가르는 것은 이른바 우생학적 관점”(@mind****) 등의 의견도 이어졌다.
눈 밝은 누리꾼 수사대는 직접 원문을 해석해 <문화방송>을 조목조목 비판하기도 했다. 트위터 아이디 @windbu****는 “아예 기사를 좀 해석해 보았습니다. MBC의 알통 기사와 대조해 보시길”이라는 글과 함께 자신이 해석한 글의 링크( http://beneath77.tumblr.com/post/43451969315/mbc)를 올려 눈길을 끌었다.
현정부 들어 <문화방송>의 의도적 왜곡보도와 잇단 방송사고는 방통심의위원회로부터 수차례 제재를 받았다. 지난해 7월 런던올림픽 때 <문화방송>은 뉴스를 내보내면서 올림픽 사무실응원의 현장으로 소개한 곳이 MBC 뉴미디어뉴스국 사무실인 것이 드러나, 조작방송 비판이라는 받고 방송통신심의위로부터 법정제재인 ‘주의’를 받았다.
지난해 10월 <문화방송> 정오뉴스는 김근태 새누리당 의원의 당선무효형 선고를 보도하면서 고 김근태 민주통합당 고문의 사진을 내보냈다가 방통심의위로부터 법정제재인 ‘경고’를 받았다.
올 들어서는 지난 2월7일 방통심의위는 <문화방송>의 ‘정수장학회의 <문화방송> 지분 매각 시도’가 왜곡 보도라며 <문화방송>에 ‘권고’ 결정을 내렸다. <문화방송> <뉴스데스크>는 <한겨레>의 정수장학회 특종보도에 대해 “도청으로 대화 내용을 입수했을 가능성이 있고 보도 내용이 사실을 왜곡했다”는 등의 내용으로 10여 차례 보도하며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의 ‘부산·경남 대학생 반값 등록금 지원’ 발언이 대화록에 나오는데도 최 이사장이 그런 취지의 발언을 하지 않았다며 거듭 사실과 다른 주장을 했으나 나중에 사실로 밝혀졌다.
지난 2월8일에는 천억원대 교비횡령 혐의로 구속됐다가 석방된 사립대 관계자들을 보도하면서 문재인 민주당 의원의 실루엣 사진을 잘못 처리해 내보내는 사고로 야당이 강력반발하는 일도 일어났다. <문화방송>은 컴퓨터그래픽 담당자의 실수라며 공식 사과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정부, ‘셀프훈장’ 이어 이번엔 ‘4대강 셀프검증’
■ MBC “알통 크면 보수?” 논문왜곡 ‘황당’ 뉴스
■ 퇴직 뒤 아무것도 않으면 846억원?
■ 농심라면 스프 원료서 또 발암물질
■ 서울 주유소, 가장 비싼 곳과 싼 곳 529원 차이
■ MB정부, ‘셀프훈장’ 이어 이번엔 ‘4대강 셀프검증’
■ MBC “알통 크면 보수?” 논문왜곡 ‘황당’ 뉴스
■ 퇴직 뒤 아무것도 않으면 846억원?
■ 농심라면 스프 원료서 또 발암물질
■ 서울 주유소, 가장 비싼 곳과 싼 곳 529원 차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