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재승인 심사 앞두고 서로 견제
조선·중앙일보, 채널A·MBN 겨냥
우회출자 의혹·편성문제 등 지적
조선·중앙일보, 채널A·MBN 겨냥
우회출자 의혹·편성문제 등 지적
종합편성채널(종편) 사업자들인 보수 신문들의 ‘침묵의 카르텔’에 금이 가고 있다. 내년 초 재승인 심사가 다가오고 이경재 방송통신위원장이 “종편은 2개가 적당하다”는 의견을 여러 차례 피력하자 본격적으로 서로를 견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조선일보>는 16일치 ‘“종편 4사 주주 구성 때 무슨 일이…모두 다 검증해야”’ 기사로 전날 방통위 국감에서 종편에 대해 제기된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주로 <동아일보> 종편인 <채널에이>와 <매일경제> 종편인 <엠비엔>의 출자 과정을 문제삼았다. 이 신문은 동아일보가 김찬경 전 미래저축은행 회장을 통해 채널에이에 우회 출자를 했고, 대한항공도 김 전 회장을 통해 채널에이에 우회 출자를 했다는 최민희 민주당 의원의 발언을 전했다. 이경재 방통위원장이 “(최민희 의원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법률적 검토를 철저히 하겠다”고 말한 사실도 전했다.
조선일보는 또 이런 의혹을 계기로 삼아 모든 종편의 주주 구성에 대한 공개와 검증이 필요하다는 언론학계의 의견을 전했다. “(언론학계에서) 일부 종편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우회투자, 일부 부도덕한 저축은행들의 편법 투자 의혹 등의 사실 여부가 가려져야 한다고 말한다”고 알렸다. “방송 내용도 중요하지만 소유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게 바람직”하고, “어느 종편이든 주주와 지배구조에 대한 공공성과 투명성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엠비엔만 왜… 주주 현황 공개 거부하나’라는 제목의 별도 기사로 엠비엔이 방통위의 정보공개 결정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벌이는 점을 문제삼았다. 언론개혁시민연대가 방통위를 상대로 낸 정보공개 청구소송에서 승소해 7월에 티브이조선·채널에이·제이티비시의 주요 주주 현황은 공개됐지만, 엠비엔 쪽은 이에 불복해 소송을 내 주주 현황이 공개되지 않고 있다.
<중앙일보>도 이날 4면에서 방통위 국감 내용을 보도하며 “일부 종편의 과도한 시사·보도 프로그램이 문제로 지적됐다”고 밝혔다. 이 신문은 전병헌 민주당 의원이 “(티브이조선과 채널에이는) 종편이 아니라 보도채널”이라고 말한 사실을 전했다. 이어 “올 상반기 종편사의 보도 비율은 (중앙일보 종편인) 제이티비시(14.1%)를 제외하곤 모두 40%를 넘겼다”고 전했다. 동아일보의 채널에이 우회 투자 의혹도 소개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1~2개가 적정했던 종편이 4개나 승인돼 문제가 생겼다”, “현재 시장 상황을 감안할 때 종편 4개사가 경쟁하는 것은 무리”와 같은 이경재 방통위원장의 말을 옮기며, 내년 초 재승인 심사에서 일부 종편이 탈락할 수 있다는 분위기를 전했다. 이경재 위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재승인 심사를 엄격하게 하면 종편 2개 정도가 탈락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종편에 출자한 신문사들이 종편의 문제점을 지면에서 본격적으로 다룬 것은 이례적이다. 언론 단체들이 올해 종편 주주 구성의 문제점 등을 여러 번 지적했지만 이들은 관련 소식을 전하지 않았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관련영상] [한겨레 캐스트 #182]‘편법 종편’, 퇴출이 옳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