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프로그램 최대 70% 육박
기존보도채널 매출·시청률 하락
국감서도 ‘교양·오락 외면’ 뭇매
기존보도채널 매출·시청률 하락
국감서도 ‘교양·오락 외면’ 뭇매
종합편성채널(종편)의 보도채널화에 따른 막말 방송과 정치적 편향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보도전문채널들이 종편의 이런 행태를 규제해달라는 내용의 건의서를 최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에 냈다. 종합편성이라는 취지를 어기는 종편들에 대한 보도전문채널들의 첫 공동 대응이다.
<와이티엔>(YTN)과 <연합뉴스티브이>(뉴스와이)는 7일 방통위에 낸 건의서에서 “<티브이조선> ·<채널에이>·<엠비엔> 등 종편 3사의 주중 보도 프로그램 편성 비중은 전체 방송 시간에서 60~70%(올 8월 평일, 6시~24시 기준)에 육박한다”며 “종편들이 드라마나 교양 프로그램 투자는 뒤로 한 채 뉴스 생산에만 매달리면서 기존 보도채널의 광고 영업에 지장을 주고 시장을 혼탁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종편 보도가 불공정성이 심해 수십 건의 법정제재를 받은 것도 문제점으로 들었다. 두 방송은 이어 “종편이 사업 계획을 이행하지 않아 시정명령을 받았지만 이후에 종편의 보도·시사 프로그램 편성 비율이 더 높아지고 있다”며 종편 재승인 심사에 앞서 방통위의 엄정한 법 집행을 촉구했다. 또 보도 편성 비율의 상한선 명시 등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현행 방송법 시행령은 종편에 대해 오락 프로그램은 50% 이하로 편성해야 한다고 규정할 뿐 보도 편성 비율은 상한선이 없다.
종편의 시사·보도 프로그램 과다 편성에 대한 비판은 국정감사에서도 제기됐다. 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15일 방통위 국감에서 티브이조선의 올해 보도 편성 비율은 48.1%, 채널에이는 46.2%로 종편의 보도채널화 경향이 뚜렷하다며 대책을 요구했다. 노 의원은 이경재 방통위원장에게 “방송법에 따르면 종편은 보도·교양·오락을 조화롭게 편성해야 하는데, 이렇게 보도 편성 비율이 높다면 방송법상 종편이라 할 수 있는가”라고 따졌다. 같은 당 전병헌 의원도 “올 상반기 종편의 보도 프로그램 비율은 제이티비시를 제외하곤 모두 40%를 넘겼다”며 “이들은 종편이 아니라 보도채널”이라고 지적했다.
김용일 방통위 방송지원정책과장은 “지난해 종편 사업계획 이행 실적 평가에서 <엠비엔>의 보도 편성이 계획(22.7%)보다 2배 이상(51.5%) 높아 시정을 촉구한 뒤 조금 나아졌다. <채널에이>와 <티브이조선>은 2013년치를 조사한 결과 보도 편성 비율이 과도하게 나와 9월에 별도로 사업계획 이행을 촉구했다. 연말까지 살펴본 뒤 추가 조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관련영상] [한겨레 캐스트 #182]‘편법 종편’, 퇴출이 옳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