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범국민대회'가 열린 26일 저녁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 세워진 <한국방송> 중계차량 유리창 위로 박근혜 대통령 하야를 촉구하는 손팻말이 빼곡히 붙어있다. 박수지 기자
<한국방송>(KBS) 구성원들이 오는 8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
한국방송의 양대 노조인 한국방송 노동조합(1노조)과 전국언론노조 한국방송본부(새노조)는 지난 24~30일 실시한 총파업 찬반투표에서 투표인원(2995명) 가운데 85.5%인 2562명이 찬성해, 총파업이 가결됐다고 1일 밝혔다. 재적인원 대비 찬성률은 67.7%다. 두 노조는 찬반투표 결과에 따라 오는 8일 오전 6시부터 ‘공정방송 쟁취와 보도 참사, 독선 경영 심판을 위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두 노조는 “공영방송 위상 추락에 대한 고대영 사장의 대국민 사과 및 책임자 문책, 정권의 방송장악 진상 규명과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방송법 개정 쟁취, 노동자의 일방적 고통 분담만 강요하는 독선경영 심판” 등을 총파업을 통해 쟁취할 목표로 내걸었다. 공영방송 이사의 여·야 추천 비율을 7대 6으로 정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방송법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여당의 반대로 국회에서 표류 중이다.
이번 총파업 가결에는 최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보도에 대한 구성원들의 실망과 분노가 큰 영향을 줬다. 총파업 찬반투표와 함께 실시된 본부장 6명에 대한 신임투표에서, 보도 총책임자인 김인영 보도본부장은 재적인원 대비 77%(투표인원 대비 92%)로 ‘불신임’을 받았다. 노조는 단협에 따라 김 본부장을 비롯해 3분의 2 이상의 불신임을 받은 3명의 본부장에 대해 해임을 건의할 예정이다. 조인성 제작본부장 등 3분의 1이상의 불신임을 받은 다른 3명의 본부장에 대해서는 인사 조치를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방송은 9월부터 제기된 ‘비선실세’ 의혹에 대해 별다른 보도를 내놓지 않고 있다가,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를 한 10월말에야 뒤늦게 특별취재팀을 구성해 보도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 때문에 노조, 기자협회 등을 중심으로 내부에서 ‘보도 참사’라는 비판과 함께 책임자 사퇴 요구가 나오기도 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