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MBC) ‘뉴스데스크’가 지난달 31일 제천 화재 발생 초기 소방관들이 ‘우왕좌왕’했다는 보도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문화방송 갈무리
<문화방송>(MBC)이 충북 제천 화재 발생 초기 소방관들이 ‘우왕좌왕’했다는 보도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지난달 31일 문화방송 <뉴스데스크>는 ‘잘못된 보도 바로잡고 사과드립니다’라는 리포트를 통해 “저희 엠비시(MBC)는 현장 대원들의 임무와 역할에 대해 취재하지 않은 채 폐회로텔레비전(CCTV) 영상만으로 구성한 이 같은 보도로 소방관들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이 같은 문제를 인지하고 저희는 (지난달)29일 뉴스에서 현장 지휘관의 반론을 전해드렸다. 이후 저희 잘못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정정보도 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 늦었지만 이번 보도로 마음의 상처를 입은 소방관 여러분들과 시청자 여러분께 깊이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지난달 26일 <뉴스데스크>는 ‘긴박했던 대피 초기 우왕좌왕’이라는 제목의 리포트에서 제천 화재 발생 당시 사고 장소 주변 폐회로텔레비전(CCTV)영상을 공개했다. 이 리포트를 통해 “한 소방대원이 걸어 다니는 모습도 눈에 띈다. 이 대원은 10분 넘게 무전 교신만 하면서 건물 주변을 걸어 다닌다.”, “가스마스크만 착용한 소방대원들은 사람들에게 멀리 물러나라고 하지만 직접구조에 나서진 않는다”고 언급했다.
전·현직 소방관들은 이를 오보라 지적했다. 무전기를 든 소방관은 상황파악을 위해 뛰어다니면 안 되는 현장 지휘관이었고, 가스마스크를 쓴 대원들은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구급대원이었기 때문이다. 119소방안전복지사업단이 공식 에스엔에스(SNS) 계정을 통해 이 같은 보도의 문제점을 꼬집는 등 비판이 이어졌다.
이에 문화방송은 지난달 29일 영상 속 무전 교신을 하고 있었던 소방관을 인터뷰해 ‘반론’을 전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저희들이 현장에서 절대 뛰어다니면 안 된다. 그게 매뉴얼”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또한 첫 보도의 문제점을 바로잡기에는 부족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이에 <뉴스데스크>는 지난달 31일 정정보도와 함께 사과 입장을 밝혔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