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화쟁위원회 위원장인 도법 스님(왼쪽)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 견지동 조계종 총무원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사회통합을 외면하는 정부와 한나라당이 국민화합과 사회통합을 위해 참회할 수 있도록 회초리를 드는 역할”에 나서겠다고 밝히고 있다. 오른쪽은 법안 화쟁위 총무위원.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여·야가 함께 참여하는 ‘국민적논의기구’를 발족시켜 4대강 사업에 대한 합의 도출을 시도해온 조계종 화쟁위원회가 16일 정부·여당의 내년 예산안의 일방적 처리를 규탄하며 정부·여당이 참회할 때까지 회초리를 들고 나서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화쟁위 회장단은 이날 서울 견지동 조계종 총무원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여당은 일방적 예산 통과로 국민의 가슴에 못질을 했고, 민주주의를 벼랑 끝으로 밀어냈다”면서 “국민이 나서서 주인으로 당당하게 야단을 쳐야하고, 두 번 다시 함부로 행동할 수 없도록 정신을 차리고 태도를 바꾸게 해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화쟁위는 또 “전 불교도로 하여금 민주주의 발전의 기본 토대인 국민화합과 사회통합을 이끌어 내기 위해 주체적이며 조직적으로 깊이 각성하고 굳건하게 결의를 다질 수 있도록 행동하고, 불교계가 갖고 있는 모든 조건과 역량을 활용해 정부여당의 부당함을 줄기차게 알리는 활동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쟁위는 “정부·여당이 사회 통합에 발 벗고 나설 때까지 길고 깊은 호흡으로 용맹정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불교계의 대응이 일회성으로 끝나지않을 것임을 내비친 것이다.
화쟁위 위원장 도법 스님은 “화쟁위는 4대강 문제에 앞서 봉은사 문제를 다룰 때 화쟁위의 중재안에 대한 수용을 전 봉은사 주지 명진 스님이 번복 했을 때 명진 스님이 옳지않다고 분명한 태도를 보인 적도 있었다”면서 “이번에도 국민적 논의가 도출되기 전에 화합과 통합을 외면하는 쪽에게 책임을 지우겠다고 애초부터 국민에게 약속한만큼 지금은 이 약속을 불교계가 실행에 옮겨야할 때”라고 말했다.
도법 스님은 이어 “정부·여당의 반성과 변화를 이끌어내도록 종단 차원에서 구체적인 실천들을 해 나갈 것을 제안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아래는 이날 화쟁위 성명서 전문이다.
아래는 이날 화쟁위 성명서 전문이다.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