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졸업 뒤 미 비영리기관 컨설턴트 활동
현재는 7년째 엔지오 사업 지원 업무
한국, 반짝기부 아닌 ‘품앗이’ 전통 살려야
현재는 7년째 엔지오 사업 지원 업무
한국, 반짝기부 아닌 ‘품앗이’ 전통 살려야
[이사람] 한국 온 최주원 미 파운데이션센터 부센터장
미국 뉴욕 맨해튼 5번가에 자리잡은 ‘파운데이션 센터’ 교육서비스 부문 부센터장으로 일하는 최주원(47)씨 명함 뒷면엔 “Knowledge to build on.”이 눈에 확 띈다. 최씨는 “고기를 잡아주는 것보다 고기잡는 법을 가르쳐주는 게 더 중요하다는 뜻”이라고 한다. 그가 일하는 ‘파운데이션 센터’는 이름 그대로 재단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엔지오와 미국내 8만5000여 재단들이 각각 최선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정보를 제공하는 일을 한다고 최씨는 전했다. “중세 유럽의 의적 로빈 후드 같은 역할이죠. 도움을 받으려는 단체나 개인에게 도움을 주려는 사람 혹은 재단을 연결시키는 일을 하는 겁니다.”
센터는 꼭 50년 전인 1956년 설립됐다. “당시 거부들이 탈세를 위해 재단을 만든다는 의혹을 받았지요. 매카시 선풍 등으로 불신이 가득 차 있던 상황에서, 록펠러 재단과 카네기 재단 등 대표적인 5곳이 공동출자해 도서관을 설립했습니다. 우리 센터의 뿌리가 된 것이죠.” 현재 뉴욕 외에 샌프란시스코·클리블랜드 등에 지부를 두고 있다. 풀타임 직원만도 156명, 컨설턴트까지 합치면 2배 가까운 사람들이 있다.
최씨는 23년 전 대학 졸업 후 미국으로 건너가 컬럼비아대에서 평생교육학을 전공했다. 뉴욕시립대 등에서 강의하던 그가 센터에 합류한 것은 2000년. 그 직전 2년간 비영리기관에서 컨설턴트로 근무하면서 “더 좋은 세상을 만들고 싶어” 인연을 맺게 됐다고 한다.
“80년대까지는 대부분 기업 등의 기부에 의존했지만 이후 출판 등의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돈으로 엔지오를 지원합니다. 연간 우리 센터를 통해서 엔지오로 전달되는 돈은 1900만달러 정도 됩니다.”
그는 25일 서울문화재단 주최 ‘문화기부 세미나’에서 ‘미국 기업의 문화기부와 기부효과 분석’이라는 주제발표를 했다. 그는 “일부에선 돈 많은 사람들만 기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돈 있는 사람은 돈으로, 시간이 많은 사람은 시간으로, 재능 있는 사람은 이것을 상대적으로 부족한 이들과 나누는 게 진정한 기부”라고 했다. 그는 “기부는 일종의 역할분담”이라고 말했다.
“서양에 십일조 전통이 있다면 우리는 품앗이 문화가 있습니다. 고학력 우리 사회가 서구에 비해 기부문화가 훨씬 뒤떨어진 것은 사회 지도층 인사들이 소극적이어서 그런 측면이 많은 것 같아요.”
최씨는 “수재성금 때 보면 한국은 돈 규모가 큰 것 같다”며 “그런데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반짝기부’로 그치는 것이 안타깝다”고 했다. 그는 이를 ‘반짝문화’라고 했다.
“워런 버핏이 최근 천문학적인 돈을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에 기부했잖아요. 저는 그에게 두가지 점을 발견하고 기뻤습니다. 개처럼 벌어 정승처럼 쓰는 것과, 자신의 재단이 있는데도 굳이 게이츠재단에 낸 것이지요. 기부는 바로 각자 역할이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거든요.” 글 이상기 기자 amigo@hani.co.kr 사진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워런 버핏이 최근 천문학적인 돈을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에 기부했잖아요. 저는 그에게 두가지 점을 발견하고 기뻤습니다. 개처럼 벌어 정승처럼 쓰는 것과, 자신의 재단이 있는데도 굳이 게이츠재단에 낸 것이지요. 기부는 바로 각자 역할이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거든요.” 글 이상기 기자 amigo@hani.co.kr 사진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