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안진 교수
고위층 ‘성희롱 인식’ 문제있어
인권의식, 청소년때 체화 잘돼
인권의식, 청소년때 체화 잘돼
교사 인권교육 연수 마련한 전남대 안진 교수
전남대 안진(52·사진·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최근 빈발하고 있는 성희롱이나 학생 체벌 논란에 대해 “우리 사회에 인권 친화적 문화가 뿌리내리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성희롱 예방교육 강사로 현장에 설 때면 이른바 ‘사회 기득권층’의 편견에 깜짝 놀라곤 한다는 그는 “전문직이나 고위직 집단일수록 성희롱 문제에 대해 ‘나는 다 알고 있다’식의 태도를 보이는 이들이 더 많은 것이 큰 문제”라고 말했다.
전남대 공익인권법센터장도 맡고 있는 안 교수가 2007년부터 일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한 것도 이러한 편견을 깨는 데 교육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서로 존중하고 존중받는 인권의식은 청소년기에 길러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며 “교육의 세 주체 가운데 한 당사자인 교사들이 인권문제에 대해 성찰하면 학생들의 인권 감수성도 쑥쑥 올라간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첫회 인권교육 직무연수를 마친 교사들은 ‘광주학생생활연구회’를 결성해 인권교육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도 26일부터 전남대 법대 205호 강의실에서 시작돼 30일까지 진행되는 연수에는 초·중학교 교사 40명이 참여했다. 광주시교육청과 5·18기념재단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 연수의 주제는 ‘인권, 교육철학을 고민하다’.
청주대 조승래·성공회대 김동춘 교수 등 학자들과 <한겨레> 홍세화 기획위원, 마임예술가 이두성씨,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한채윤 대표 등 전문가들이 12가지 주제로 나뉘어 강의를 맡고 있다. 강의는 일방 통행식이 아니라 소집단별로 나뉘어 교사들과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안 교수는 “철학없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 대해 생각해보고, 인권 문제의 근원적 원인이 어디에서 시작되는지를 따져보며, 인권교육의 원칙과 방법론도 함께 찾는 자리”라고 소개했다. 인권 친화적 문화의 수준이 높아지려면 인권교육과 법 제정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그는 제안했다.
“요즘 학교인권 문제가 체벌과 복장 문제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는데, 다문화 가정이나 성적 소수자 인권도 중요하다”고 덧붙인 그는 “우리 내면의 편견과 차별의식을 바꾸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사진 전남대 제공
광주/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사진 전남대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