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병철 위원장 독단운영 반발…15일 사퇴서 제출
국가인권위원회의 문경란·유남영 상임위원과 조국 비상임위원의 잇단 사퇴에 이어 인권위가 위촉한 전문·자문·상담위원 등 57명이 집단으로 사퇴의사를 밝혔다. 현병철 위원장의 독단 운영에 반대해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와중에 친정부 성향의 김영혜 변호사를 상임위원으로 내정한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에 대한 반발도 확산되고 있다.
인권위 전문·상담·자문위원들은 15일 오전 11시 인권위 앞에서 ‘현 위원장의 사퇴와 인사청문회 도입’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뒤 사퇴서를 제출하고 위촉장을 반납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들은 미리 배포한 자료에서 “현 위원장은 그동안 도저히 위원장의 언행이라 믿을 수 없는 행보를 계속해 와 이에 항의하면서 상임위원 2명과 비상임위원 1명이 사퇴하기에 이르렀다”며 “우리는 인권위를 지키려고 인권위를 떠난다. 인권위가 소위 인권 전문가라고 하는 우리 57명에게 부여한 모든 ‘직’을 사퇴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이 대통령과 현 위원장 체제의 인권위에 아무런 기대를 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우리는 하루빨리 현 위원장이 자신의 과오를 깨닫고 자진사퇴할 것과 다시는 인권 문외한이 인권위원장 또는 인권위원이 될 수 없도록 인사청문회 등의 인사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지난주에는 전 국가인권위원장 2명을 포함한 전직 인권위원모임과 전직 인권위 직원모임이 현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또 법학자·변호사 334명, 여성계 등 시민사회단체들의 사퇴촉구에 이어 지난 11일에는 전국 각 지역의 621개 인권·시민단체들이 현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긴급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손준현 선임기자 dust@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한 고교 교사가 전하는 충격적인 학교 모습
■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에 인분 투척
■ 노벨상 유력 후보였던 한국의 과학자
■ 박태환 아시아는 좁다 자유형200m 금메달
■ 단일야당 정권교체 염원 시민 뭉쳤다
■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에 인분 투척
■ 노벨상 유력 후보였던 한국의 과학자
■ 박태환 아시아는 좁다 자유형200m 금메달
■ 단일야당 정권교체 염원 시민 뭉쳤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