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2010년 직업군별 평균수명
최근 10년간 직업별 평균수명 조사…연예인이 최하위
우리나라에서 평균 수명이 가장 긴 직업군은 뭘까?
원광대 보건복지학부 김종인 교수팀은 1963년부터 2010년까지 48년 동안 언론에 난 3215명의 부음기사와 통계청의 사망통계자료 등을 바탕으로 국내 11개 직업군별 평균 수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종교인이 가장 오래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한국보건복지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보건과 복지> 최근호에 실렸다.
48년 동안 직업군별 평균 수명은 종교인이 80살로 가장 높았고, 정치인(75살), 교수(74살), 기업인(73살), 법조인(72살), 고위 공직자(71살), 연예인·예술인(70살), 체육인·작가·언론인(67살)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10년(2001~2010년)치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종교인의 평균 수명이 82살로 여전히 가장 높았고, 이어 교수·정치인(79살), 법조인(78살), 기업인(77살), 고위공직자·예술인·작가(74살), 언론인(72살), 체육인(69살), 연예인(65살) 등의 차례였다.
최근 10년치 조사의 직업별 평균 수명이 48년치 조사와 견줘 전반적으로 높아졌지만, 유독 연예인은 1990년대 75살에서 2000년대에는 65살로 평균 수명이 더 짧아졌다. 언론인의 평균 수명은 60~70년대 61살, 90년대 65살, 2000년대 72살로 점점 늘긴 했지만, 여전히 평균 수명 최하위 직군에 해당한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연구팀은 “종교인이 장수하는 이유는 규칙적인 활동과 정신수양을 하고, 가족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적고 과욕이 없는데다 금연·금주를 하고 상대적으로 환경오염이 적은 곳에서 생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장밋빛 뉴타운이 ‘잿빛’으로…“1~2억 더내라니”
■ 정부, “방사능 7일 한반도 유입” 또 뒷북 발표
■ “영업정지 7개 저축은행 모두 매각 대상”
■ 김해을 단일화 유시민-이인영 ‘거친 설전’
■ [이종석 칼럼] 이명박 대통령의 나라
■ ‘아덴만 여명’ 육군장성이 국정원에 가는 까닭
■ PCS는 애물단지? 잘하면 ‘통신비 인하’ 효자노릇
■ 정부, “방사능 7일 한반도 유입” 또 뒷북 발표
■ “영업정지 7개 저축은행 모두 매각 대상”
■ 김해을 단일화 유시민-이인영 ‘거친 설전’
■ [이종석 칼럼] 이명박 대통령의 나라
■ ‘아덴만 여명’ 육군장성이 국정원에 가는 까닭
■ PCS는 애물단지? 잘하면 ‘통신비 인하’ 효자노릇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