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올해 실시한 당뇨합병증 검사에 참여한 한 시민이 혈압을 재고 있다. 광주시 제공
한겨레 제1회 지역복지대상
우수상 |광주시 ‘당뇨합병증 제로화 만들기’
광주광역시(시장 강운태)는 ‘당뇨합병증 제로화 도시 만들기’ 사업을 4년째 펼치고 있다.
시는 2009년 당뇨합병증 사망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다는 것을 알고 예방책을 찾기 시작했다. 2010년 광주시의 당뇨병 유병률은 9.5%로 다른 대도시보다 낮았지만, 당뇨 표준화 사망률은 19.8%로 다른 대도시 평균보다 높았다.
당뇨병에 대한 의사 진단과 투약률은 차이가 없는데 합병증 검사 수진율이 낮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였다. 당뇨병 환자들은 합병증 검사비가 너무 비싸서 검사를 꺼렸고, 민간 의료기관은 고가의 검사장비 때문에 검사에 소극적이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2009년 10월 전남대병원과 손을 잡고 당뇨합병증 예방관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광주시 건강정책과 배영숙씨는 “당뇨병 환자 가운데 당뇨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는 사례를 조기에 발견해 꾸준히 관리해 주자는 것이 이 사업의 주된 목적”이라고 말했다. 광주시와 5개 구청 보건소, 전남대 의대 예방의학과와 간호대, 한국건강관리협회 등 민관 11개 기관이 힘을 모았다.
시는 당뇨병 추정 환자 9만명 가운데 10%에 해당되는 9000명을 합병증 검사 대상 목표로 설정했다. 해마다 시비 5000만원(53%)과 전남대병원 등 관계기관이 보탠 4500만원(47%) 등 9500만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안저촬영, 미세단백뇨, 경동맥초음파, 동맥경화 검사 등 10가지에 이르는 당뇨합병증 검사에 40만원(보험수가 기준)이 들지만, 협력체계를 통해 4만원 정도만 치르도록 했다. 2009년 1020명, 2010년 1627명, 2011년 2623명 등이 당뇨합병증 검사를 받아 목표의 60%를 달성했다. 이 사업은 시민들의 의료비를 절감해주는 효과를 내 효율적인 시민건강 관리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팔용(78·광주 광산구 수완동)씨는 “수년 전부터 당뇨병을 앓아왔는데 시 도움으로 당뇨합병증 검사를 받을 수 있어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광주/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윤여준 “문재인, 반대 진영 설득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
■ 대선전 막판 여론조사…박·문 초박빙 혼전세
■ 북한이 ‘박근혜 당선’ 원하는 진짜 이유 있다
■ 비밀투표 맞아? 속 훤히 비치는 부재자투표 봉투 논란
■ 수리 맡긴 베엠베 차 폐차지경 만들어놓고…
■ 박주영 맹활약…셀타 비고, 레알 마드리드 격침
■ [화보] ′북한, 장거리 3단 로켓 은하3호 발사!′
■ 윤여준 “문재인, 반대 진영 설득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
■ 대선전 막판 여론조사…박·문 초박빙 혼전세
■ 북한이 ‘박근혜 당선’ 원하는 진짜 이유 있다
■ 비밀투표 맞아? 속 훤히 비치는 부재자투표 봉투 논란
■ 수리 맡긴 베엠베 차 폐차지경 만들어놓고…
■ 박주영 맹활약…셀타 비고, 레알 마드리드 격침
■ [화보] ′북한, 장거리 3단 로켓 은하3호 발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