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놀이로 만나는 미술
“하루에 한번씩은 먹고 지나가는 과자. 이왕 먹는다면 맛있게 먹고 미술놀이도 해 보자.”
과자봉지를 자세히 살펴보자. 그림도 숫자도 알록달록 색깔도 있다. 뒷면에 바코드 또한 아이들과는 이야기거리가 될 수 있다. 과자뿐만 아니라 우리가 쓰는 모든 생활쓰레기에서 색깔과 바코드를 모아 보자. 주변을 둘러보는 관찰력과 재활용을 경험하며 환경의 소중함도 느껴볼 수 있다.
과자봉지에서 찾은 미술1 - 모자이크
<이야기 나누기>
엄마 : 성용이가 맛있게 먹고난 과자봉지 다르게 사용할 방법은 없을까?
성용 : 이건 이젠 쓰레기잖아요.
엄마 : 그냥 버리면 쓰레기지만 한번더 사용할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 생각 좀 해 보자. 성용이 그림그리기 어떻게 하지? 성용 : 그리고 색칠하고…. 엄마 : 오늘은 색칠을 물감으로 하지 않고 이 봉지에서 찾아하면 어떨까? <준비물> 과자봉지 여러 개, 가위, 풀, 도화지, 크레파스 <놀이방법> 1. 아이에게 좋아하는 동물이나 꽃 등 단순한 그림을 그리게 합니다. 2. 색칠할 부분의 색을 물감대신 과자봉지에서 찾아 붙인다. (사진 ) 과자봉지에사 찾은 미술2 - 바코드 그림 <준비물> 바코드가 찍힌 포장지들, 가위, 풀, 도화지 <놀이방법> 1. 미리 준비해 놓은 여러 가지 재활용품들에서 바코드를 찾는다. 2. 바코드를 자세히 살펴보고 이야기를 나눈다. 3. 숫자와 막대 부분을 적절히 오리고, 도화지판에 바코드를 놓아 보면서 모양놀이를 한다.
<활용팁> 바코드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자료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1. 국가코드 : 국가를 식별하는 코드로 우리나라의 경우 ‘880’을 사용 2. 제조업체 코드 : 제조원 또는 판매원에 부여하는 코드로 각 업체를 식별하는 코드 3. 상품코드 : 제조업체 코드를 부여받은 업체에서 자사의 상품별로 식별하여 부여하는 코드 4. 검증코드 : 바코드의 오류를 검증하는 코드로 앞의 숫자를 조합하여 나오는 코드
조개껍질로 만든 알록달록 반짝반짝 햇빛가리개 <이야기 나누기>
엄마 : 성용아 이게 뭔지 아니?
성용 : 이거 조개껍질이잖아요.
엄마 : 그래, 어제 우리가 먹은 된장찌개속에 있던 조개야. 엄마가 깨끗이 씻어 모아놨지.
성용 : 펼쳐 놓으니 꼭 나비 같아요.
엄마 : 그렇지? 우리 오늘 예쁜 나비옷 좀 입혀볼가?
<준비물>
바지락 조개껍질, 아크릴 물감, 붓, 반짝이풀, 연결한 만한 끈(빨대, 골판지 공예종이 등), 본드총
<놀이방법>
1. 조개껍질을 부러지지 않게 벌려 놓아 나비 혹은 리본 모양을 연상한다.
2. 아크릴 물감을 이용하여 원하는 색깔로 무늬를 꾸민다.
3. 마르면 반짝이풀을 적당히 이용하여 반짝반짝 포인트를 준다.
4. 골판지공예 한 줄을 반으로 잘라 조개들을 적당한 간격으로 붙인다.
글·사진 임영숙/아하네(Ahane.net) 운영위원
엄마 : 그냥 버리면 쓰레기지만 한번더 사용할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 생각 좀 해 보자. 성용이 그림그리기 어떻게 하지? 성용 : 그리고 색칠하고…. 엄마 : 오늘은 색칠을 물감으로 하지 않고 이 봉지에서 찾아하면 어떨까? <준비물> 과자봉지 여러 개, 가위, 풀, 도화지, 크레파스 <놀이방법> 1. 아이에게 좋아하는 동물이나 꽃 등 단순한 그림을 그리게 합니다. 2. 색칠할 부분의 색을 물감대신 과자봉지에서 찾아 붙인다. (사진 ) 과자봉지에사 찾은 미술2 - 바코드 그림 <준비물> 바코드가 찍힌 포장지들, 가위, 풀, 도화지 <놀이방법> 1. 미리 준비해 놓은 여러 가지 재활용품들에서 바코드를 찾는다. 2. 바코드를 자세히 살펴보고 이야기를 나눈다. 3. 숫자와 막대 부분을 적절히 오리고, 도화지판에 바코드를 놓아 보면서 모양놀이를 한다.
②
③
<활용팁> 바코드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자료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1. 국가코드 : 국가를 식별하는 코드로 우리나라의 경우 ‘880’을 사용 2. 제조업체 코드 : 제조원 또는 판매원에 부여하는 코드로 각 업체를 식별하는 코드 3. 상품코드 : 제조업체 코드를 부여받은 업체에서 자사의 상품별로 식별하여 부여하는 코드 4. 검증코드 : 바코드의 오류를 검증하는 코드로 앞의 숫자를 조합하여 나오는 코드
④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