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학부모 단체 “비전공자가 가르치게돼 수업권 침해”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현재 ‘통합사회’로 묶여 있는 지리와 일반사회를 별도의 과목으로 나눠 가르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7차교육과정의 국민공통과정(초등학교 1학년~고교 1학년) 편제를 보면, 중학교 1학년은 사회시간에 지리와 세계사를 배우게 돼있으며, 2학년 때는 국사와 일반사회, 세계사를, 3학년 때는 국사와 지리, 일반사회를 배운다. 고교 1학년은 국사와 지리, 일반사회를 배운다. 국사는 교과서가 따로 있지만, 지리와 일반사회는 〈사회〉 교과서 안에 두 과목의 내용이 섞여 있다.
전국지리교사모임 김대훈 대표는 “예를 들어 일반사회 교사가 중학교 1학년 사회를 맡게 될 경우, 학생들은 1년 동안 비전공 교사한테서 수업을 들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서울 ㄴ중 ㅂ교사(지리)는 “비전공 교사가 정확한 개념을 모른 채 어려운 용어와 관련된 시험문제를 내 오답 시비 끝에 결국 보기 2개를 모두 정답으로 인정한 적도 있었다”고 털어놨다.
교육과정평가원의 설문조사에서 사회과 교사들의 81.9%가 ‘비전공 영역을 가르칠 때 지식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기가 곤란하다’고 답했으며, 72.4%가 ‘현행 통합사회 체제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전국사회교사모임 신성호 대표는 “지리와 일반사회를 별도의 과목으로 분리해야 하며, 그게 어렵다면 최소한 교과서라도 분리해 한 영역을 한 학년에서 집중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와 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도 최근 성명을 내어, “전공과 가르치는 영역의 불일치로 학생들의 수업권이 침해되고, 학업 부담에 따른 사교육을 부추기고 있다”며 현행 통합 교육과정의 개정을 요구했다.
교육과정평가원도 지난해 1월 세 영역의 분리를 뼈대로 하는 개선안을 교육부에 보고했다. 그러나 지난 12일 열린 교육과정 개정안 공청회에서 교육부는 “사회과는 학년별 영역집중제 또는 통합형으로 운영한다”며 애매한 태도를 고수했다.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 관계자는 “여러 가지 안을 놓고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과목간 통합이라는 7차교육과정의 근본 취지 자체를 흔들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종규 기자 jk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