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상담실/
질문) 이번에 중학교 1학년이 된 학생입니다. 제게는 꿈이 없습니다. 할 줄 아는 것은 많은데. 특출하게 잘하는 것은 없어요. 어머니께서는 외교관을 하라고 하시고, 아버지께서는 일단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을 나오라 하시지만, 저는 외교관도 별로고 일단 목표가 정해져야지 뭐라도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학교에서 장래 희망에 대해 쓰라고 하면 항상 고민만 하다가 쓰지도 못합니다.
저는 내성적이지 않고 활발하면서 가끔은 뭐든지 귀찮아하는 성격입니다. 하지만 내가 하고 싶은 것에는 물 불 가리지 않고 열심히 하고, 끝까지 이루어 냅니다. 취미는 축구나 게임, 독서 등입니다. 아직 진로에 대해 상담하기는 어린 나이 같지만 요즘 정말 답답합니다. 저에게 맞는 꿈을 선사해 주세요.
답변) 진로상담을 하기에 늦거나 빠른 나이는 없답니다. 60~70살 된 어른들도 할 일을 찾습니다. 그 상황에 맞춰서 앞으로 해야 할 공부나 일을 찾는 것이 진로랍니다.
장래를 결정하기 위해서, 성격과 취미가 중요하다는 것도 알고 있네요. 그리고 부모님과도 의논을 자주 하시고, 본인 스스로도 꾸준히 찾고 있는 모습에 박수를 쳐드리고 싶습니다.
장래 직업을 쓰려고 하면 망설여진다고 했는데, 너무 정보가 많아서가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봅니다. 장래라는 것은 여러 가지로 그 상황에 맞게 목표를 잡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안타깝게도, 지금 써주신 내용만으로는 딱 집어드리기가 쉽지 않네요.
중학교 1학년은 여러 가능성을 열어 두고, 이것저것 자신의 흥미를 더 탐색해 볼 수 있는 아주 좋은 시기입니다. 지금 당장 결정이 안 되더라도, 조바심을 낼 이유는 없답니다.
우선 학교에서 진로 상담 선생님과 꼭 의논을 해 보십시오. 그리고 가까운 청소년 상담소에 가서 홀랜드진로탐색검사를 받아보면서, 여러 차례에 걸친 상담을 받아보기 바랍니다. 홀랜드검사를 받으면 자신의 직업적 성격이 어느 유형으로 나오는지 알 수 있습니다. 검사와 함께 자신에 대한 관찰을 시작해 보십시오. 어느 교과목을 더 좋아하고, 친구들과 사귀기를 좋아하는지 혼자 있기를 좋아하는지, 학업 성적은 얼마나 되는지, 리더십은 있는지, 경쟁심이 강한지 등을 천천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또 직업인으로서 성공하려면 어떤 태도와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공부해 보십시오. 이렇게 적성을 탐색해 가는 일은 물론 공부와 같이 가야 합니다. 학업 성적은 직업 선택의 폭을 넓혀주기 때문입니다. 학생은 아직 어리기 때문에 주변에 믿을 만한 사람을 멘토로 만들어서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가면 더 좋습니다. 가령 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하면 이런 자신의 적성의 이해나 직업 찾기를 훨씬 빠르고 잘 할 수 있을 겁니다. 가까운 청소년 상담실의 진로상담 선생님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도 좋습니다. 서로 얘기를 나누다 보면 진로가 좀 더 명확해질 것입니다. 안창규/부산대 교육학과 교수, 한국진로상담연구소장 riasec@hanmail.net
우선 학교에서 진로 상담 선생님과 꼭 의논을 해 보십시오. 그리고 가까운 청소년 상담소에 가서 홀랜드진로탐색검사를 받아보면서, 여러 차례에 걸친 상담을 받아보기 바랍니다. 홀랜드검사를 받으면 자신의 직업적 성격이 어느 유형으로 나오는지 알 수 있습니다. 검사와 함께 자신에 대한 관찰을 시작해 보십시오. 어느 교과목을 더 좋아하고, 친구들과 사귀기를 좋아하는지 혼자 있기를 좋아하는지, 학업 성적은 얼마나 되는지, 리더십은 있는지, 경쟁심이 강한지 등을 천천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또 직업인으로서 성공하려면 어떤 태도와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공부해 보십시오. 이렇게 적성을 탐색해 가는 일은 물론 공부와 같이 가야 합니다. 학업 성적은 직업 선택의 폭을 넓혀주기 때문입니다. 학생은 아직 어리기 때문에 주변에 믿을 만한 사람을 멘토로 만들어서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가면 더 좋습니다. 가령 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하면 이런 자신의 적성의 이해나 직업 찾기를 훨씬 빠르고 잘 할 수 있을 겁니다. 가까운 청소년 상담실의 진로상담 선생님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도 좋습니다. 서로 얘기를 나누다 보면 진로가 좀 더 명확해질 것입니다. 안창규/부산대 교육학과 교수, 한국진로상담연구소장 riasec@hanmail.net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