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대학생 교육대책위원회’ 소속 학생들이 31일 오전 서울 삼청동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정문 앞에서 등록금 동결을 촉구하는 행위극을 하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학생·학부모·시민 공동대응…‘대학자율’ 정책에 반기
학생·학부모·교사·시민들이 등록금을 대폭 인상하려는 대학들에 대한 공동 대응에 나섰다.
참교육학부모회, 함께하는 교육시민 모임, 참여연대 등 교육·시민단체 10여곳은 31일 “한나라당이 대통령선거 전에는 ‘대학 등록금을 절반으로 낮추겠다’고 말했지만, 대선 이후에는 대학 자율성 보장을 내세워 등록금 인상을 부추기고 있다”며 이에 대처하기 위해 ‘전국 등록금 대책 네트워크(가칭)’ 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역 국공립대에서는 등록금을 20~25%까지 인상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등록금 문제는 이제 대학 사회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시민들의 생계 현안이 됐다”고 말했다. 최근 서울지역 사립대들은 등록금을 최고 12%까지 인상했다. 광운대가 12% 올렸고, 서울시립대와 경희대는 각각 9%를 인상했다. 또 서울산업대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27% 등록금 인상 방침을 발표했다.
‘서울지역 대학생 교육대책위원회’ 소속 대학생들도 이날 서울 삼청동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각 대학은 인수위의 대학 자율화를 ‘등록금 폭등의 자율’로 악용하고 있다”며 “인수위는 대학 자율화 정책을 재고하라”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신초이(성신여대 3)씨는 “동생이 이번에 대학에 입학하는데 학비 부담이 커 휴학을 고민하고 있다”며 “피부로 느끼고 있는 사회문제라고 생각해 직접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양대, 전남대 등 전국 100여개 대학 학생들이 참여하는 ‘전국 대학생 교육대책위원회’는 등록금 인상반대를 위한 전국적인 공동행동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