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재 신채호 · 백범 김구 (왼쪽부터)
통합논술 교과서 / (43) 민족이란 무엇인가?
교과서 검색하기/ [난이도 수준=중2~고1]
① 민족의 의미
민족이란, 씨족이나 종족, 부족 등의 단어와 마찬가지로 공통의 조상을 가진 한 핏줄로 이루어진 집단이다. 따라서 우리는 민족을 하나의 큰 가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족 가운데 한 사람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그는 우리 가족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 민족의 일원으로 태어난 사람이 외국에 살면서, 혹 그 나라의 국적을 취득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사람은 우리 민족의 한 사람인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핏줄과 언어가 같고 문화와 역사를 함께 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우리가 같은 운명을 지니고 함께 살아가야 하는 공동체임을 자각할 수 있는 민족의식을 가지지 못한다면, 그것은 참다운 의미에서 민족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민족이란 핏줄, 언어, 문화, 역사와 같은 객관적 요소와 민족의식이라는 주관적 요소를 동시에 갖추었을 때에만 비로소 성립하는 것이다.
-중학교 <도덕2>(교육인적자원부) 156쪽
② 우리 민족의 특징
우리 민족은 황색 피부, 검은색 머리 등의 신체적인 특징을 지녔으며, 인종적으로는 몽골 인종에 속하고, 어족으로는 터키 어, 퉁구스 어, 몽골 어와 함께 알타이 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우리 민족은 남방계보다는 북방계와 관련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일찍부터 만주 지역과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북 아시아 지역에 넓게 자리잡았던 우리 민족은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거치면서 점차 민족의 기틀을 형성하고, 주변의 여러 민족과 교류하면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중학교 <국사> (교육인적자원부) 10쪽
③ 신채호의 민족관
역사란 무엇이뇨? 인류 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부터 발전하여 공간부터 확대하는 심적 활동의 상태의 기록이니, 세계사라 하면 세계 인류의 그리 되어 온 상태의 기록이며, 조선사라면 조선 민족의 그리 되어 온 상태의 기록이니라.
무엇을 ‘아’라 하며 무엇을 ‘비아’라 하느뇨? 깊이 팔 것 없이 얕게 말하자면, 무릇 주관적 위치에 선 자를 아라 하고 그 외에는 비아라 하나니, 이를테면 조선인은 조선을 아라 하고 영ㆍ러ㆍ불ㆍ미… 등을 비아라 하지만, 영ㆍ러ㆍ불ㆍ미… 등은 각기 제 나라를 아라 하고 조선을 비아라 하며, (중략) 그러므로 역사는 아와 비아의 투쟁의 기록이니라. -신채호, <조선상고사>총론
-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두산) 232쪽
④ 백범의 민족주의
그러므로 우리 민족으로서 하여야 할 최고의 임무(任務)는, 첫째로 남의 절제(節制)도 아니 받고 남에게 의뢰(依賴)도 아니 하는, 완전한 자주 독립의 나라를 세우는 일이다. 이것이 없이는 우리 민족의 생활을 보장할 수 없을뿐더러, 우리 민족의 정신력(精神力)을 자유로 발휘(發揮)하여 빛나는 문화를 세울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완전한 자주 독립의 나라를 세운 뒤에는, 둘째로 이 지구상의 인류가 진정한 평화(平和)와 복락(福樂)을 누릴 수 있는 사상을 낳아, 그것을 먼저 우리 나라에 실현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국어 (상)> (교육인적자원부) 78쪽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