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논술 / 46. 인류의 역사에서 전쟁의 의미는?
이 주제가 왜 중요한가 [난이도 = 중2~고1]
인간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이기도 하다. 전쟁은 증오와 적대심에서 비롯한 가장 극렬한 갈등이 폭력적으로 표출된 상황이다. 전쟁에는 파괴와 살상이 뒤따르는데, 전쟁을 원치 않았다고 해서 그 피해에서 비껴갈 수 없다. 무고한 생명이 희생된다는 점은 전쟁의 가장 잔혹한 면모라 할 수 있다.
전쟁의 부정적 면모는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전쟁이 인류 문명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점 또한 부인할 수 없다. 전쟁에 필요한 기술로 개발된 것들이 평화 시에 다른 용도로 요긴하게 쓰이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다른 집단과의 대치 상황에서 집단 내부의 결속력이 더욱 강화되어, 집단 내부의 불안·동요 등을 막고 대내적으로 국가 권력을 강화하는 구실을 하기도 한다.
논술고사에서는 전쟁을 포함한 인간 사회의 갈등에 대한 견해를 서술하라는 문제, 지배와 정복의 과정에서 힘의 불균형을 유발하는 요소들을 서술하라는 문제, 전쟁과 폭력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그 극복 방안을 논술하라는 문제, 전쟁을 배경으로 한 소설에서 논제를 스스로 찾아 견해를 서술하라는 문제 등이 출제됐다.
2005학년도 고려대 수시 1
네 제시문의 공통 주제와 각 제시문의 관계를 밝히고, 공통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술하라는 문제가 나왔다.
주어진 글의 공통 주제는 ‘갈등’으로, 제시문 (라)에서는 갈등이 가장 폭력적으로 표출된 상황으로 ‘전쟁’을 들며, 전쟁은 특정 사회 조직을 겨냥한 조직되고 무장된 폭력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전쟁은 부정적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전쟁을 통해 작은 집단과 마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더 큰 사회, 곧 국가가 만들어짐으로써 인류 문명 발전의 토대가 형성되었음을 지적했다.
2004학년도 중앙대 수시 1
제시문의 전체적인 논지를 바탕으로 글 (가)에서 제기한 문제에 대한 답을 작성하되, 역사 진행에서 차이가 발생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과 그것으로부터 연유한 구체적 원인을 서술하라는 문제가 나왔다.
(가)는 문화인류학자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 가운데서 뽑은 것으로 유럽이나 미국인이 다른 지역을 정복할 수 있는 배경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설명한 것이었다. 저자는 얄리라는 뉴기니인의 질문을 통해 글 전체의 화두를 제시했다. 얄리는 백인들이 많은 물품을 만들어 뉴기니에 가져왔는데 어째서 뉴기니인들은 그런 것들을 만들지 못했는지 물었다. 저자는 백인들이 정복과 지배에서 유리한 지위를 차지하게 된 가장 근본적인 배경으로 자연 환경의 차이를 들었다.
2002학년도 경북대 정시
예시 자료를 근거로 전쟁과 폭력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그 극복 방안에 대해 논술하도록 했다.
<자료 1>은 에드워드 윌슨의 <인간 본성에 대하여> 중 일부로, 자민족 중심주의가 인간의 폭력성 및 야만성과 결합될 때 나타나는 민족간의 전쟁을 다뤘다.
<자료 2>는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 중 일부로 원장의 부당한 억압에 원생 중 한 사람이 살인이라는 극도의 폭력을 행사하는 장면이었다. <자료 3>은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에서 뽑은 것이었다. 루소는 폭력의 결과 노예 상태에 놓인 인간이 어떤 태도를 취하는 것이 현명한가를 설명하며, 선한 인간이 악인에 의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으려면 상호 협약에 의한 사회 구성이 불가피함을 지적했다. <자료 4>는 마리아 비노프스카의 <막시밀리안 콜베> 중 일부로, 수용소 내 비인간적 학살의 상황을 종교적으로 승화시키는 장면을 보여줬다.
2000학년도 경희대 정시
황순원의 단편소설 ‘송아지’ 전문(全文)을 주고 나름대로 논제를 찾아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라는 문제가 주어졌다.
‘송아지’는 6·25전쟁을 배경으로 ‘돌이’라는 초등학생과 ‘송아지’ 사이에 깃든 애틋한 정을 그린 이야기다. ‘전쟁은 과연 비극적인가?’, ‘전쟁 속의 삶은 각박하기만 한가?’, ‘어른의 전쟁과 어린아이들의 전쟁은 어떻게 다른가?’, ‘인간과 동물의 영적 교류는 가능한가?’ 등 다양한 화두를 뽑아낼 수 있는 문제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