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
[난이도 = 중2~고1]
14. 글쓴이의 관점이나 태도 알기
15. 견주어 읽기
16. 설명적인 글에서 용어의 쓰임 알기
※ 다음 두 글을 비교하여 읽은 것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 광고 언어를 규범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은 전혀 잘못된 것이 아니다. 광고 언어가 미치는 사회적 영향력을 감안해 볼 때, 언어학자들의 지적과 개선안은 하시도 멈추어서는 안 될 것이다. 국어교육의 차원에서도 이러한 관점은 지지를 받는다. 표기법을 무시한 어설픈 광고가 자꾸 만들어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박영준, <광고언어연구>, 박이정 ㈏ 광고 전략의 목적은 제품 편익, 사회적 고려 사항, 자아 관여 속에서 소비자의 마음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힘을 발견하고, 그들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발견하는 것이다. 결국 광고 전략이란 ‘제품이나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줄 수 있는 이익이나 문제 해결 특성을 전달하는 광고 메시지의 형식’이라 할 수 있다. -김맹호,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실제>, 창과 창 ① 두 글은 모두 광고 언어를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② 두 글은 모두 광고의 영향력을 전제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③ 두 글의 의도는 상대방의 견해를 논박하고자 하는 데 있다. ④ 두 글의 견해 차이는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비롯되었다. ⑤ 두 글은 감정을 드러내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같은 사건이나 현상, 또는 대상을 다룰 때에도 글쓴이의 의도나 입장에 따라 다른 의견이 나올 수 있다. 다양한 글을 견주어 읽는 것은 비판 능력을 기르는 데 유용하다. 견주어 읽기에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형식의 글에서 공통된 주제를 찾아 읽는 방식과 둘 이상의 비슷한 형식의 글에서 차이점을 찾아 읽는 방식이 있다. 글 ㈎와 ㈏는 모두 ‘광고 언어’를 대상으로 한 글이다. 두 글은 모두 광고 언어의 영향력을 전제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에서는 광고 언어의 규범 및 국어교육과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에서는 광고 전략에 초점을 맞추었다. 상대방의 견해를 논박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지는 않다.
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hjy435@hanmail.net
㈎ 광고 언어를 규범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은 전혀 잘못된 것이 아니다. 광고 언어가 미치는 사회적 영향력을 감안해 볼 때, 언어학자들의 지적과 개선안은 하시도 멈추어서는 안 될 것이다. 국어교육의 차원에서도 이러한 관점은 지지를 받는다. 표기법을 무시한 어설픈 광고가 자꾸 만들어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박영준, <광고언어연구>, 박이정 ㈏ 광고 전략의 목적은 제품 편익, 사회적 고려 사항, 자아 관여 속에서 소비자의 마음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힘을 발견하고, 그들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발견하는 것이다. 결국 광고 전략이란 ‘제품이나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줄 수 있는 이익이나 문제 해결 특성을 전달하는 광고 메시지의 형식’이라 할 수 있다. -김맹호,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실제>, 창과 창 ① 두 글은 모두 광고 언어를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② 두 글은 모두 광고의 영향력을 전제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③ 두 글의 의도는 상대방의 견해를 논박하고자 하는 데 있다. ④ 두 글의 견해 차이는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비롯되었다. ⑤ 두 글은 감정을 드러내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같은 사건이나 현상, 또는 대상을 다룰 때에도 글쓴이의 의도나 입장에 따라 다른 의견이 나올 수 있다. 다양한 글을 견주어 읽는 것은 비판 능력을 기르는 데 유용하다. 견주어 읽기에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형식의 글에서 공통된 주제를 찾아 읽는 방식과 둘 이상의 비슷한 형식의 글에서 차이점을 찾아 읽는 방식이 있다. 글 ㈎와 ㈏는 모두 ‘광고 언어’를 대상으로 한 글이다. 두 글은 모두 광고 언어의 영향력을 전제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에서는 광고 언어의 규범 및 국어교육과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에서는 광고 전략에 초점을 맞추었다. 상대방의 견해를 논박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지는 않다.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