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면접고사를 점수화하여 반영하는 대학을 보면 일반 전형 기준으로 부산대ㆍ서울대 등 85 곳이다. 101 곳에서 실시했던 2008학년도에 비해 다소 줄었다. 반영 비율은 10% 반영이 강원대ㆍ성균관대ㆍ부산교대 등 42개 대학으로 가장 많고, 울산과기대ㆍ서울대ㆍ중부대 등 16개 대학은 20%를 반영한다.
반영 대학과 반영 비율은?
주의할 점은 많은 대학들이 의학계열이나 사범계열 등 특정 모집단위에 한해서만 면접고사를 실시한다는 점이다. 고려대·성균관대·울산대는 의학계열, 강원대·공주대·성신여대 등은 사범계열에 대해 실시한다. 모집단위별로 반영 비율이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수험생들은 희망 대학의 면접고사 실시 여부와 반영 비율을 모집요강을 통해 세심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정시 모집에서 면접고사의 변별력은 수시 모집보다 높지는 않다. 정시 모집의 경우 수능의 변별력이 워낙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능과 학생부 성적이 비슷한 경우에는 비록 반영 비율이 낮더라도 면접고사로 당락이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려대 의예과의 경우 수능 50% + 학생부 40% + 면접고사 10%로 선발하지만, 지원자 대다수는 상위권으로 수능과 학생부 성적이 비슷해서 면접고사가 당락을 좌우할 수도 있다고 본다. 또 서울대처럼 1단계에서는 수능 100%로 모집 정원의 2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선 학생부 50% + 논술고사 30% + 면접고사 20%로 선발하는 경우에는 면접고사가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고려대(의예과 제외)·서강대·성균관대(의예과 제외)·연세대·중앙대·한양대 등 중상위권의 많은 대학이 면접고사를 보지 않으므로 반드시 희망 대학의 실시 여부를 확인해보고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제경향과 대비법은?
정시 모집의 면접고사는 수시 모집의 심층면접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서울대 등 몇몇 대학이 교과 심층면접 위주로 실시하기는 하지만, 대다수 대학은 일반면접으로 실시한다. 즉, 교과 내용보다는 인성, 품성, 교양, 전공 적성, 지원 동기, 의사 표현력 등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면접고사를 실시한다. 따라서 출입 자세, 시선 처리, 답변 자세, 태도 등을 꾸준히 연습하고 지원 동기, 학업 계획, 장래 희망, 성격의 장단점, 감명 깊게 읽은 책, 존경하는 인물 등에 대한 대답을 자신의 잠재력을 부각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해 보는 게 좋다.
2009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심층면접은 경북대·부산교대·서울대·울산과학기술대 등에서 실시한다. 심층면접은 지원하고자 하는 모집단위에서 필요로 하는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준비하되, 자연계 모집단위 지원자는 수학이나 과학 교과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도를 점검하면 된다.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이하 교·사대) 지원자는 교직 관련 질문을 각별히 준비하는 게 좋다. 교·사대 면접고사는 교직 적성을 갖추고 있는지, 교사로서의 자질이 있는지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대 지원자는 위에서 언급한 일반면접 대비법에다 교사로서의 품성과 자질, 교직관 등을 묻는 질문을 따로 구성해 대비할 필요가 있다. 대학의 면접 기출문제는 홈페이지나 인터넷 입시 정보 사이트 등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면접고사에서는 답변 내용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과 표현 능력도 매우 중요하다. 질문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신의 생각을 자신 있게 또박또박 말할 수 있도록 평소에 훈련해야 한다. 생각하는 것과 표현하는 것은 전혀 다른 능력이기 때문이다. 홍삼영 이투스 면접구술고사 강사
2009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심층면접은 경북대·부산교대·서울대·울산과학기술대 등에서 실시한다. 심층면접은 지원하고자 하는 모집단위에서 필요로 하는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준비하되, 자연계 모집단위 지원자는 수학이나 과학 교과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도를 점검하면 된다.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이하 교·사대) 지원자는 교직 관련 질문을 각별히 준비하는 게 좋다. 교·사대 면접고사는 교직 적성을 갖추고 있는지, 교사로서의 자질이 있는지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대 지원자는 위에서 언급한 일반면접 대비법에다 교사로서의 품성과 자질, 교직관 등을 묻는 질문을 따로 구성해 대비할 필요가 있다. 대학의 면접 기출문제는 홈페이지나 인터넷 입시 정보 사이트 등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면접고사에서는 답변 내용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과 표현 능력도 매우 중요하다. 질문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신의 생각을 자신 있게 또박또박 말할 수 있도록 평소에 훈련해야 한다. 생각하는 것과 표현하는 것은 전혀 다른 능력이기 때문이다. 홍삼영 이투스 면접구술고사 강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