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우리말 논술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 [난이도 수준-고2~고3]
28. 분석과 통합
29. 일반화의 원리
30. 일반원리를 적용하기 ※ <보기>의 자료를 활용하여 남성어와 여성어의 차이에 대한 글을 쓰고자 한다. 가장 적절한 것은?
여러 가지 사실에서 일반적인 원리를 찾아내는 추론 능력을 귀납추리라고 한다. 귀납추리에는 여러 가지 경험을 일반화하는 통계적 귀납추리와 앞선 경험을 활용하여 다음에 이어질 내용을 추리하는 유비추리가 있다.
(가)와 (나)는 모두 남성과 여성의 대화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가)에서 여성은 주로 감정 표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에 비하여, 남성은 일의 해결에 관심이 있음을 나타낸다. (나)에서도 여성의 말과 남성의 이해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적절한 일반화는 ①이라고 할 수 있다. ②에서는 대화 단절의 원인을 언급함으로써 일반화의 원리를 벗어났으며, ③은 (나)의 자료만을 대상으로 진술하였다. ④와 ⑤는 자료가 시사하는 점과 거리가 있다.
※ 다음<보기>를 일반화할 수 있는 한 문장을 쓰시오.
(가) 떵띵은 한국계 회사에 취직하기 위하여 한국어를 배운다. 그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언어 표현에 관심이 높다.
(나) 스즈키는 한국에 살고 있는 바이어이다. 그가 처음 한국말을 배운 것은 10년 전 무역회사에 다니는 아버지와 함께 한국 여행을 할 때였다. 그는 한국말과 일본말이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았다.
(다) 최근 중국에는 한국어학과를 둔 대학들이 매우 많다. 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일차적인 동기는 경제적인 데 있다고 한다.
허재영 단국대 교양학부 교수 hjy435@hanmail.net
29. 일반화의 원리
30. 일반원리를 적용하기 ※ <보기>의 자료를 활용하여 남성어와 여성어의 차이에 대한 글을 쓰고자 한다. 가장 적절한 것은?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