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논술
유형별 논술교과서 /
20. 추론
21. 견해 제시
유형 1 - 비판적 견해 제시
유형 2 - 분석적 견해 제시 22. 해결방안 제시 ■ 유형의 이해 견해를 제시하라는 논제는 논술고사에서 자주 출제되는 유형 중 하나다. 이 유형은 다른 유형의 논제에 비해 장문의 답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러 제시문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자신의 견해와 결합해 서술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논술의 목적은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이며, 견해를 제시하는 답안을 작성할 경우에도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펴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다. 누군가를 설득하려면 보편적인 도덕 기준에 부합하며,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하고, 특정 집단의 이해를 초월한 가치를 추구하는 등의 요건을 갖춰야 한다. 견해 제시를 요구하는 논제는 제시문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밝힐 것을 요구하는 유형과 분석적 진술을 요하는 유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제시문에 나타난 주장의 결함이나 주장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사안에 접근하는 시각의 편협함 등 비판 가능한 요소에 대한 적절한 기준과 근거를 서술해야 한다. 후자의 경우 제시된 글의 함축된 의미를 파악하고 그런 주장이 나오게 된 배경을 이해한 뒤 이를 통해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 이 유형이 왜 중요한가 주어진 사안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히려면 자료에 대한 ‘종합적 분석→비판적 평가→견해의 확정→논리적 서술’ 등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견해 제시를 요구하는 논제는 이처럼 다양한 사고능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유형이다. 가치 판단이 필요한 영역에서 자신의 입장을 정하려면 가치의 경중을 가늠할 수 있는 나름의 도덕적 기준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견해 제시를 요구하는 논제는 건전한 가치관을 평가하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견해 제시형 논제는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술고사에서 자주 출제되고 있다. 최근 대입 논술고사는 보통 여러 개의 제시문이 주어지고 그에 딸린 몇 개 문제가 주어지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견해를 제시하라는 논제는 통합적 특성으로 인해 여러 문제 가운데 마지막 문항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어떻게 해결할까 (1)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깊이 있게 따져본 다음, 자신의 입장을 정하고 그것을 분명히 드러내야 한다. (2) 견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근거가 결합돼야 한다. 견해만 평면적으로 나열하거나 주장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근거를 댈 경우 좋은 답안으로 평가받을 수 없다. (3) 제시문 내용 가운데 일부를 근거로 끌어들이고자 할 때는 어떤 제시문에서 가져온 것인지를 명시해 제시문과의 연관성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 (4) 견해를 피력하는 데 제시문과의 연관성을 무시해서도 안 되지만, 제시문 내용을 각각 요약·정리하거나 사실을 설명하는 선에서 머물러서도 안 된다. 제시문은 비판이나 분석의 대상이 되는 동시에 어떤 입장을 택할 것인지에 대한 실마리가 될 수도 있다. 제시문에서 시작하되 그 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논의로서 자신의 견해가 제시돼야 한다. (5) 자신의 견해가 상대방에게 제대로 전달되려면 적합한 단어를 선택해 정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비슷해 보이는 단어도 그 뜻이 전혀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뜻을 잘 모르는 단어일 때는 사전을 찾아보며 적재적소에 사용해야 한다. 자신의 의도대로 전달됐는지 알아보기 위한 확실한 방법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글을 보이고, 상대방이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들어보는 것이다.
유형 1 - 비판적 견해 제시
유형 2 - 분석적 견해 제시 22. 해결방안 제시 ■ 유형의 이해 견해를 제시하라는 논제는 논술고사에서 자주 출제되는 유형 중 하나다. 이 유형은 다른 유형의 논제에 비해 장문의 답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러 제시문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자신의 견해와 결합해 서술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논술의 목적은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이며, 견해를 제시하는 답안을 작성할 경우에도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펴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다. 누군가를 설득하려면 보편적인 도덕 기준에 부합하며,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하고, 특정 집단의 이해를 초월한 가치를 추구하는 등의 요건을 갖춰야 한다. 견해 제시를 요구하는 논제는 제시문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밝힐 것을 요구하는 유형과 분석적 진술을 요하는 유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제시문에 나타난 주장의 결함이나 주장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사안에 접근하는 시각의 편협함 등 비판 가능한 요소에 대한 적절한 기준과 근거를 서술해야 한다. 후자의 경우 제시된 글의 함축된 의미를 파악하고 그런 주장이 나오게 된 배경을 이해한 뒤 이를 통해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 이 유형이 왜 중요한가 주어진 사안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히려면 자료에 대한 ‘종합적 분석→비판적 평가→견해의 확정→논리적 서술’ 등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견해 제시를 요구하는 논제는 이처럼 다양한 사고능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유형이다. 가치 판단이 필요한 영역에서 자신의 입장을 정하려면 가치의 경중을 가늠할 수 있는 나름의 도덕적 기준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견해 제시를 요구하는 논제는 건전한 가치관을 평가하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견해 제시형 논제는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술고사에서 자주 출제되고 있다. 최근 대입 논술고사는 보통 여러 개의 제시문이 주어지고 그에 딸린 몇 개 문제가 주어지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견해를 제시하라는 논제는 통합적 특성으로 인해 여러 문제 가운데 마지막 문항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어떻게 해결할까 (1)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깊이 있게 따져본 다음, 자신의 입장을 정하고 그것을 분명히 드러내야 한다. (2) 견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근거가 결합돼야 한다. 견해만 평면적으로 나열하거나 주장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근거를 댈 경우 좋은 답안으로 평가받을 수 없다. (3) 제시문 내용 가운데 일부를 근거로 끌어들이고자 할 때는 어떤 제시문에서 가져온 것인지를 명시해 제시문과의 연관성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 (4) 견해를 피력하는 데 제시문과의 연관성을 무시해서도 안 되지만, 제시문 내용을 각각 요약·정리하거나 사실을 설명하는 선에서 머물러서도 안 된다. 제시문은 비판이나 분석의 대상이 되는 동시에 어떤 입장을 택할 것인지에 대한 실마리가 될 수도 있다. 제시문에서 시작하되 그 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논의로서 자신의 견해가 제시돼야 한다. (5) 자신의 견해가 상대방에게 제대로 전달되려면 적합한 단어를 선택해 정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비슷해 보이는 단어도 그 뜻이 전혀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뜻을 잘 모르는 단어일 때는 사전을 찾아보며 적재적소에 사용해야 한다. 자신의 의도대로 전달됐는지 알아보기 위한 확실한 방법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글을 보이고, 상대방이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들어보는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