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논술 6. 국어(문학) 교과서로 논술 접근하기
과목별 논술교과서 / [난이도 수준-중2~고1]
교과서 읽기 / 논점 2. <가정>을 통해 본 가족, 가정
1. 시 전문
2. 작품 이해의 실마리
이 시는 주로 자연을 대상으로 했던 그의 초기 작품 세계와는 사뭇 다른 작품이다. 소시민의 일상을 제재로 한 이 시에는 가장의 삶의 고달픔과 애환, 가족에 대한 애정이 ‘신발’을 매개로 해 효과적으로 표현돼 있다.
1연은 시적 화자가 귀가하는 상황이다. 일에 지친 몸을 이끌고 집에 돌아온 화자는 각기 크기가 다른 아홉 켤레의 신발을 바라본다. 신발들은 자식들을 형상화한 것이다. ‘지상’이라는 시어는 이런 신발들과 함께 하는 또 하나의 세계다. 그가 일을 하는 전쟁터와도 같은 바깥세상과 대비되는 안락한 공간인 것이다. 2연에서 화자는 자신의 신발을 벗어놓는다. 조금 전까지 걸어온 ‘눈과 얼음의 길’이란 가족들을 부양하려 견디어 낸 바깥에서의 삶이다. 3연에는 가장의 자의식이 담겨 있다. 냉혹한 현실 속에서 자신의 땀과 눈물로 지켜온 가정에 대한, 스스로에 대한 연민을 읽을 수 있다. 4연은 겉으로는 전달하는 말이지만, 결국은 자신의 다짐이다. ‘고달픔’과 ‘미안함’과 ‘굳건한 마음’이 표출되는 것이다.
이 시에 접근하려면 화자의 정서와 의지가 표출되는 근원, 즉 자신이 일군 가정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을 이해해야 한다.
■ 논제 해결 가족형태의 역사적·지역적 다양성 다음 제시문을 읽고, <가>를 바탕으로 하여 <나>에 나타난 전형적인 가족의 모습을 서술하시오.(명지대 논술 변형) <가> 인류학자와 역사학자들이 밝힌 바와 같이 가족의 구조와 기능, 심지어 개념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어떤 집단은 복혼제(複婚制: 배우자가 동시에 둘 이상인 혼인 형태로 일부(一夫)다처·일처다부(多夫) 등)를, 어떤 집단은 단혼제(單婚制: 일부일처의 결혼)를 정상이라고 여긴다. 어떤 경우에는 한 쌍의 부부나 한 쌍의 부부와 그들의 미혼 자녀로 구성된 공동체를 가장 주요한 가족 형태로 보지만 또 다른 경우에는 확장된 친족 관계를 중요시한다. 가족은 어떤 집단에서는 기본적인 재생산 단위이지만, 또 다른 집단에서는 생산의 단위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가족은 구성 범위, 가장권의 소재, 혼인의 형태에서 시대와 지역 및 문화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가족 형태의 역사적·지역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가족 형태가 보편적·전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성별에 따른 특정한 노동 분업을 수행하는 산업사회 이후의 핵가족이 현대의 전형적인 가족으로 강조되었으며, 바람직하고 합법적인 유일한 가족 형태로 받아들여져 왔다. 가족은 낭만적 사랑으로 맺어진 남녀와 그 결실로 태어난 자녀로 구성되고, 공적인 영역과 구분되는 아늑하고 안정된 사생활의 공간이며, 그 속에서 남편 혹은 아버지는 집안의 가장으로서 돈을 벌어오는 생산 활동을 담당하고 아내 혹은 어머니는 자녀 양육과 가사를 책임지는 재생산 활동을 담당한다는 것이 전형적 가족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전형적 가족이 탄생한 것은 산업사회 이후의 유럽에서다. 가사노동이 사회적 의미에서의 생산노동과 분리되어 재생산의 의미로 한정된 것은 자본주의 생산 시스템에서 비롯되었다. 특정 지역과 특정 시대에 탄생한 가족 개념을 보편적·전형적인 것으로 인지하게 하는 가족 이데올로기의 확산은 유럽 근대문화의 세계 제패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에서조차 이러한 전형적 가족은 그 의미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남편이 생산을, 아내가 재생산을 전담한다는 성별 분업은 여성 권리의 신장과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여성이 생산 부문에까지 진출함으로써 약화되었다. 독신 가족, 혼외 동거 가족, 동성애 가족 등의 증가로 결혼과 혈연으로 연결된 남편-아내-자식으로 구성된 전형적 가족의 개념은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구성원의 혈연적 유대를 특별히 강조하는 우리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나> 가정 - 박목월 (위의 시와 같음)
■ 해결 방향 논제를 해결하려며 먼저 제시문 <가>에 나타난 전형적 가족의 여러 모습을 정리하고, 이것을 제시문 <나>와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글을 보면 특수한 가족 형태를 ‘전형’ 또는 ‘보편’으로 만드는 가족 이데올로기에 의해 형성된 전형적 가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부부와 자녀라는 가족 구성, 공적 영역과 구분되는 사생활의 공간, 남편은 생산활동을 맡고 부인은 재생산 활동을 맡는다는 부부간의 역할 차이 등이 그것이다. 제시문 <나>에 반영된 것은 첫번째와 두번째 특징이다. 따라서 이를 중심으로 제시문 <나>에 나타난 전형적인 가족의 모습을 서술할 수 있어야 한다.
■ 자료 검색
박목월(朴木月, 1916~1978)
시인이자 교육자이며 본명은 영종(泳鍾)이다. 1916년 경상남도 고성에서 태어났으며 1935년 대구의 계성중학교를 졸업했다. 1940년 정지용의 추천을 받아 <문장>에 ‘길처럼’을 발표하며 등단했고, 1946년 을유문화사에서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집>을 간행해 청록파로도 불린다. 그의 시세계는 초기에는 주로 자연을 배경으로 하여 향토적인 서정을 표출하였고, 이후에는 현실성이 가미된 소박한 생활상, 조국의 역사적·사회적 현실 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만년에는 신앙에 깊이 침잠하는 모습을 보였다.
| |
■ 논제 해결 가족형태의 역사적·지역적 다양성 다음 제시문을 읽고, <가>를 바탕으로 하여 <나>에 나타난 전형적인 가족의 모습을 서술하시오.(명지대 논술 변형) <가> 인류학자와 역사학자들이 밝힌 바와 같이 가족의 구조와 기능, 심지어 개념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어떤 집단은 복혼제(複婚制: 배우자가 동시에 둘 이상인 혼인 형태로 일부(一夫)다처·일처다부(多夫) 등)를, 어떤 집단은 단혼제(單婚制: 일부일처의 결혼)를 정상이라고 여긴다. 어떤 경우에는 한 쌍의 부부나 한 쌍의 부부와 그들의 미혼 자녀로 구성된 공동체를 가장 주요한 가족 형태로 보지만 또 다른 경우에는 확장된 친족 관계를 중요시한다. 가족은 어떤 집단에서는 기본적인 재생산 단위이지만, 또 다른 집단에서는 생산의 단위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가족은 구성 범위, 가장권의 소재, 혼인의 형태에서 시대와 지역 및 문화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가족 형태의 역사적·지역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가족 형태가 보편적·전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성별에 따른 특정한 노동 분업을 수행하는 산업사회 이후의 핵가족이 현대의 전형적인 가족으로 강조되었으며, 바람직하고 합법적인 유일한 가족 형태로 받아들여져 왔다. 가족은 낭만적 사랑으로 맺어진 남녀와 그 결실로 태어난 자녀로 구성되고, 공적인 영역과 구분되는 아늑하고 안정된 사생활의 공간이며, 그 속에서 남편 혹은 아버지는 집안의 가장으로서 돈을 벌어오는 생산 활동을 담당하고 아내 혹은 어머니는 자녀 양육과 가사를 책임지는 재생산 활동을 담당한다는 것이 전형적 가족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전형적 가족이 탄생한 것은 산업사회 이후의 유럽에서다. 가사노동이 사회적 의미에서의 생산노동과 분리되어 재생산의 의미로 한정된 것은 자본주의 생산 시스템에서 비롯되었다. 특정 지역과 특정 시대에 탄생한 가족 개념을 보편적·전형적인 것으로 인지하게 하는 가족 이데올로기의 확산은 유럽 근대문화의 세계 제패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에서조차 이러한 전형적 가족은 그 의미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남편이 생산을, 아내가 재생산을 전담한다는 성별 분업은 여성 권리의 신장과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여성이 생산 부문에까지 진출함으로써 약화되었다. 독신 가족, 혼외 동거 가족, 동성애 가족 등의 증가로 결혼과 혈연으로 연결된 남편-아내-자식으로 구성된 전형적 가족의 개념은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구성원의 혈연적 유대를 특별히 강조하는 우리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나> 가정 - 박목월 (위의 시와 같음)
■ 해결 방향 논제를 해결하려며 먼저 제시문 <가>에 나타난 전형적 가족의 여러 모습을 정리하고, 이것을 제시문 <나>와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글을 보면 특수한 가족 형태를 ‘전형’ 또는 ‘보편’으로 만드는 가족 이데올로기에 의해 형성된 전형적 가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부부와 자녀라는 가족 구성, 공적 영역과 구분되는 사생활의 공간, 남편은 생산활동을 맡고 부인은 재생산 활동을 맡는다는 부부간의 역할 차이 등이 그것이다. 제시문 <나>에 반영된 것은 첫번째와 두번째 특징이다. 따라서 이를 중심으로 제시문 <나>에 나타난 전형적인 가족의 모습을 서술할 수 있어야 한다.
■ 자료 검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