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만숙 와이즈만 영재교육 연구소장
문제해결력 신장 어떻게 /
수학을 암기와 반복 위주로 학습하면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없다. 오히려 자신감을 잃고, 수학에 대한 부정적 태도만 길러진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아이의 문제해결력을 키워줄 수 있을까?
아이들을 훌륭한 문제해결자가 되도록 돕는 것은 자전거 타는 법을 가르치는 것과 비슷하다. 구체적 설명이 약간의 도움은 될 수 있지만, 직접 자전거를 타지 않고 과정을 익히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수학 역시 스스로 문제를 접하고 도전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매일 또는 매주 도전할 만한 문제를 제시해 아이들이 직접 이를 해결하도록 하자. 이때는 여러 가지 풀이 전략을 개발할 수 있는 문제를 골라서 제시하는 것이 좋다. 교사는 아이들이 문제해결 전략을 습득하고 논의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 이때, 교사나 학부모가 염두에 둬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스로 문제 상황을 이해하고, 다양한 해결 전략을 스스로 고안해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조금 어려워한다고 바로 도와주고 자꾸 힌트를 주면 아이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다. 물론 아이의 수준을 정확히 파악해 그에 맞는 문제를 제시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둘째, 다양한 문제해결 전략(예상과 확인, 그림 그리기, 표 만들기, 식 세우기, 거꾸로 풀기, 규칙 찾기, 단순화하기 등)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전략을 학습할 수 있는 단계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아이 스스로 체득하게 한다. 이런 점에서 좋은 교재나 좋은 학습시스템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셋째, 문제해결 과정에서 적절한 수학 지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해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규칙성을 찾고, 답을 예측하게 해야 한다. 아울러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종이와 연필 이외에 계산기나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넷째, 여러 가지 주변 현상과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해 다양한 현상과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섯째, 결과뿐만 아니라 해결 방법을 중요하게 여길 수 있게 지도하고, 문제를 직접 만들어 보게 한다. 여섯째, 협동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줘야 한다. 이 활동은 자신의 생각을 수정·보완하고, 확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협동 활동은 안정감을 느끼고, 생각과 질문을 원활하게 해 더욱 높은 수준의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이런 방법으로 꾸준히 지도를 하면 아이의 문제해결력은 어느새 한층 향상될 것이다. 특히 문제해결력 향상은 수학을 처음 학습하기 시작해서 점차 깊이 탐구하는 초등학교 시기에 더욱 중요하다. 염만숙 와이즈만 영재교육 연구소장
다섯째, 결과뿐만 아니라 해결 방법을 중요하게 여길 수 있게 지도하고, 문제를 직접 만들어 보게 한다. 여섯째, 협동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줘야 한다. 이 활동은 자신의 생각을 수정·보완하고, 확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협동 활동은 안정감을 느끼고, 생각과 질문을 원활하게 해 더욱 높은 수준의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이런 방법으로 꾸준히 지도를 하면 아이의 문제해결력은 어느새 한층 향상될 것이다. 특히 문제해결력 향상은 수학을 처음 학습하기 시작해서 점차 깊이 탐구하는 초등학교 시기에 더욱 중요하다. 염만숙 와이즈만 영재교육 연구소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