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으로 생각하고 문제 해결하기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수학으로 생각하고 문제 해결하기 /
7. 문제해결력의 의미
8. 문제해결전략 ①
9. 문제해결전략 ②
수학을 잘하는 학생이나 수학을 어려워하는 학생 모두가 보자마자 주춤하는 문제 유형이 있다. 바로 ‘문장제 문제’다. 수학적 언어가 아닌 일반적 문장으로 서술된 문제를 문장제 문제라고 하는데, 공식에 의한 문제 풀이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문장제 문제는 더욱 성가시고 당혹스러운 대상이 된다. 문제를 읽고 어떤 해결 방식으로 식을 세워야 할지, 어떤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와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장제 문제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은 글로 표현된 문제에 대한 수학적 이해가 부족하다. 하지만 문장제 문제가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익숙한, ‘공식을 활용하는 문제’에 비해 난이도가 특별히 높은 것은 아니다. 일상 언어로 제시된 문제를 수학적 언어로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 어렵게 느끼게 된다. 그럴 때 필요한 것이 문제해결 전략을 세우는 일이다.
문제해결 전략이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절차나 해법의 실마리가 되는 생각, 발견의 실마리를 얻도록 하는 방법 등의 사고전략을 뜻한다. 문제해결 전략은 문제에서 주어진 것과 구하려는 것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하기도 하며 주어진 문제를 올바르게 해결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이용하기도 한다.
수학에서 문제해결 전략의 종류는 예상과 확인, 표 만들기, 식 세우기, 그림 그리기, 규칙성 찾기, 거꾸로 풀기, 단순화하기, 특수화하기, 유추하기, 간접 증명법 등 다양하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문제해결 전략인 ‘식 세우기’와 ‘그림 그리기’를 예와 함께 알아보자. 식 세우기 전략은 문장제 문제를 수학적 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일상 언어를 수학적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다. 한 문장을 번역하려면 그 문장을 완벽히 이해하고 그 나라 말에 익숙해야 하듯, 말로 제시된 문제를 수학적 식으로 나타내려면 문제의 조건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고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익숙해야 한다. 이때 말로 제시된 문제가 쉬운 경우에는 즉각 식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좀더 어려운 경우에는 곧바로 식을 세울 수 없을 때도 있다. 학생들은 이런 경우 문장제 문제가 어렵다고 느낀다. 이럴 때는 왼쪽에는 조건을, 오른쪽에는 수학적 기호를 표시해 식을 세우는 연습을 해보자.
예시 문제 풀이에서 알 수 있듯이 같은 문제라도 다양한 문제해결 전략을 사용해 문제를 풀 수 있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할 때 자신이 생각한 대로 문제가 풀리지 않는다면 한 가지 문제해결 방법만을 고집하지 말고 다양한 방법과 가장 적합한 전략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익숙해진다면 문장제 문제나 익숙하지 않은 문제 유형을 만나도 당황하지 않고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다.
생각해보자
1부터 10까지의 합을 식을 세우는 방법과 그림을 이용한 방법을 이용해 해결해 보자.
1 + 2 + 3 + … + 9 + 10 = ?
정은희 연구원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 풀이는 <아하 한겨레> 누리집(www.ahahan.co.kr)의 ‘교육정보’ 면에서 확인하세요.
수학에서 문제해결 전략의 종류는 예상과 확인, 표 만들기, 식 세우기, 그림 그리기, 규칙성 찾기, 거꾸로 풀기, 단순화하기, 특수화하기, 유추하기, 간접 증명법 등 다양하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문제해결 전략인 ‘식 세우기’와 ‘그림 그리기’를 예와 함께 알아보자. 식 세우기 전략은 문장제 문제를 수학적 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일상 언어를 수학적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다. 한 문장을 번역하려면 그 문장을 완벽히 이해하고 그 나라 말에 익숙해야 하듯, 말로 제시된 문제를 수학적 식으로 나타내려면 문제의 조건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고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익숙해야 한다. 이때 말로 제시된 문제가 쉬운 경우에는 즉각 식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좀더 어려운 경우에는 곧바로 식을 세울 수 없을 때도 있다. 학생들은 이런 경우 문장제 문제가 어렵다고 느낀다. 이럴 때는 왼쪽에는 조건을, 오른쪽에는 수학적 기호를 표시해 식을 세우는 연습을 해보자.
| |
정은희 연구원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