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선설, 성악설 그리고 성무선악설
중학독서논술 / [난이도 수준-중2~고1] 1.인간의 참모습은 무엇인가 / 독서자료실
<인간의 본성에 대한 풍자 511> (라로슈푸코의 잠언과 성찰) 프랑수아 드 라로슈푸코 지음, 강주헌 옮김. 나무생각
저자 1613년 파리 출생. 청장년기를 음모와 야심이 판치는 전장과 궁정에서 보냈다. 정치계에 염증을 느껴 40대 후반부터는 살롱을 출입하며 라파예트 부인, 세비녜 부인 등과 우정을 나누었으며 저술 활동을 하며 만년을 보냈다. 인간 심성에 대해 깊은 생각을 바탕으로 1665년 <잠언과 성찰>을 집필했는데, 신랄하고 염세적인 시선으로 인간 심리의 미묘한 심층을 날카롭게 파헤쳤다. 내용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개인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덕목을 뽑아 500여개의 경구로 표현했다. 독자는 잠언을 따라가면서 인간 존재의 특성과 삶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저자는 “우리의 생각이 비난받을 때보다 우리의 취향이 비난받을 때 자존심은 더 큰 상처를 입는다”고 말한다. 지식 영역에 대한 비판을 두고선 인간은 좀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지만, 취향은 개인의 본질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므로 정서적으로 깊은 흔적을 남긴다는 것이다. 관용에 대해 언급한 부분에서는 인간성에 대한 저자의 비판적 시각을 엿볼 수 있다. 관용은 미덕이라 일컬어지지만, 그 밑바닥에는 허영심, 게으름, 두려움 등의 요소가 숨어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인간 사회에서 인위적으로 구분되는 미덕이나 악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겉으로 드러나는 미덕이라 할지라도 내재된 악덕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인간 행위 이면의 가식과 허위를 적나라하게 드러냄으로써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상적인 찬미나 고귀한 가설에 반박하고 있다. 논술 포인트 미덕이란 이름으로 위장하여 악덕을 저지르고 있는 이유를 사례와 함께 서술하시오. (300자 안팎)
심화자료실
정보 검색: 인간 본성에 대한 맹자와 순자의 입장 1. 맹자 : 사람은 천성에 따르면 누구나 선을 행할 수 있다. 이것을 일컬어 ‘본성은 선하다’고 하는 것이다. 측은지심(惻隱之心)은 모든 사람에게 있고, 수오지심(羞惡之心)도 모든 사람에게 있다. 사양지심(辭讓之心)과 시비지심(是非之心)도 모든 사람에게 있다. 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인(仁)이며,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은 의(義)이며, 공경하는 마음은 예(禮)이며, 시비를 가리는 마음은 지(智)이다. 인의예지는 밖으로부터 들어온 것이 아니라 내가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것이다. 다만, 생각하지 아니하였을 뿐이다. 그러므로 구하면 얻고 놓으면 잃어버린다는 말이 있으니, 혹 악을 행하여 선과 차이가 심한 사람은 그 재질을 다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 맹자, <맹자> 2. 순자 : 인간의 본성(本性)은 악(惡)하다. 그것을 선(善)이라고 하는 것은 인위적이다. 사람은 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어서, 이것을 그대로 좇기 때문에 자연히 남과 다투게 되고 사양하는 마음을 갖지 못한다. 또한 나면서부터 남을 질투하고 미워하는 성질이 있어서, 이것을 그대로 좇기 때문에 남을 해치거나 상하게 하는 일이 생기고 성실한 마음이 없어지는 것이다. 또한 사람은 나면서부터 아름다운 소리와 색(色)을 좋아하는 욕망(耳目之欲)이 있어서, 이것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음란(淫亂)함이 생기고 예의와 조리가 사라지는 것이다. 인간의 본성과 감정을 좇으면 반드시 서로 싸우고 빼앗는 일이 생기고 분별과 조리(條理)를 어지럽힘으로써 마침내 난폭한 세상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 순자, <순자>
신문 읽기
문화 콘텐츠
논리적 글쓰기
(가)
(나) 고자(告子)와 맹자(孟子)의 대화 고자가 말하였다. “본성은 갇힌 채 소용돌이치는 물과 같아 동쪽으로 트면 동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트면 서쪽으로 흐른다. 사람의 본성에 선함과 선하지 않음의 구분이 없는 것은 물에 동쪽과 서쪽의 구분이 없는 것과 같다.” 맹자가 말하였다. “물은 진실로 동서의 구분이 없지만, 위와 아래의 구분도 없겠는가? 사람의 본성이 선한 것은 마치 물이 아래쪽으로 흐르는 것과 같다. 사람은 선하지 않은 이가 없고, 물은 아래로 흐르지 않는 것이 없다. 이제 물을 쳐서 튀어 오르게 하면 이마보다 높이 넘어가게 할 수도 있고, 물을 역류시키면 산 위로도 올라가게 할 수 있지만, 이것이 어찌 물의 본성이겠는가? 이것은 외부의 힘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사람을 선하지 않게 만드는 것도 외부의 힘이 그렇게 하는 것이다.” -맹자, <맹자> 중 고자(告子) 편 ○ 답안작성의 길잡이 [문제 1] 그림의 구도와 인물들을 해석하여 자신의 입장에 대한 근거로 활용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두 가지 입장에 대하여 요약한 다음, 자신이 선택한 입장에 대한 근거를 이유나 사례의 형태로 서술한다. [문제 2] 맹자는 ‘인간 본성은 선하다’는 ‘성선설’을, 순자는 ‘인간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을, 그리고 고자는 ‘인간 본성에는 선과 악의 구분이 없다’는 ‘성무선악설’을 주장한다. 그러나 어떠한 입장에 서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주장을 무조건 배척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맹자는 마음을 이성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으로 나누고, 전자는 선한 본성으로, 후자는 외부 환경에 따라 선하거나 악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였다.
○ 지식 창고 맹모단기지계(孟母斷機之戒) 맹자가 학업을 중단하고 집으로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고 있던 베를 잘라 버리고 “학업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이 짜던 베를 잘라 버리는 것과 같다”고 훈계하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며,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것은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가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집을 세 번 옮겼다는 말이며, 다음과 같은 고사(故事)가 전한다. 맹자는 어려서 공동묘지 근처에 살았다. 어린 맹자가 보고 듣는 것이라고는 장례식뿐이었다. 그래서 그의 어머니는 “이곳은 자식을 기를 만한 데가 아니구나.” 하고 시장 근처로 집을 옮겼다. 그러자 맹자는 장사꾼 흉내를 내면서 놀았다. 그곳 역시 자식을 기를 데가 못 된다고 판단한 그의 어머니는 이번에는 서당 근처로 집을 옮겼다. 그러자 맹자는 즐거워하며, 글을 읽고 예의범절을 흉내 내며 놀았다. 이를 본 어머니는 “이곳이야말로 자식을 기를 만하다.”라고 하며 그곳에 주거를 정하였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