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집행자>의 한 장면 / 1993~2002년 전 세계 사형집행자 수
초등통합논술 / [난이도 수준-초등 고학년~중1] 8. 자유무역협정
9. 사형제도
10. 인류의 미래 위 ‘사진’과 <표>를 통해 알 수 있는 ‘사형’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세요.
주제 읽기 다음 글을 잘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
(가) 사형(死刑·Death Penalty)은 범죄자의 생명을 박탈해 사회에서 영원히 격리시키는 형벌이다. 가장 오래된 실정법인 기원전 18세기의 함무라비 법전에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동해보복’(同害報復) 사상에 입각한 형벌조항이 있다. 고조선 8조법에도 “사람을 살해한 자는 죽음으로 갚는다”는 조항이 있다. - 중학1 <도덕>, ‘생명은 왜 소중한가’ 내용 변형 (나) 국가가 성립하면서 모든 형벌권을 국가가 갖게 되었고, 국가가 형벌권을 행사함으로써 개인적(사적) 복수로부터 국가적(공적) 복수의 형태를 띠게 되었다. ( ㉠ ) 근대국가 이전에는 형벌권이 절대군주에 대한 봉사수단으로 사용되었고, 일반 국민에 대한 억압 내지 범죄를 예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 계몽시대(계몽주의)에 들어서면서 형법 및 형벌의 목적 내지는 본질, 그리고 그 내용과 대상 등에 관한 합리적 논의가 시작되었다. ( ㉡ ) 형벌의 목적도 근대적 의미의 합리적 성격을 띠는 동시에 형벌을 부과함으로써 범죄인을 개선, 교육하여 다시는 범죄를 짓지 않게 한다는 좀 더 발전된 형벌의 목적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주영, ‘생명권과 사형제도’(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홈페이지) (라) 매년 평균적으로 3개국 이상의 국가가 사형 제도를 폐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 법적으로 완전히 사형제를 폐지하거나 전쟁범죄에 대한 예외를 둔 채 폐지한 국가는 총 102개국으로 최근에는 지난 2008년 아르헨티나와 우즈베키스탄이 사형제 폐지를 결정한 바 있다. 1989년 UN 상임위원회가 채택한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제2선택의정서’를 비롯한 국제적인 주요 협약들도 사형제 폐지의 내용을 담고 있어 사형제 폐지의 움직임은 국제적인 추세로 보인다. 실질적 사형폐지 국가로 분류된 36개국을 더해 사실상 사형제를 폐지한 국가는 모두 138개국. 세계 전체 국가의 3분의 2를 넘는 수치이지만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59개국에서는 여전히 사형이 집행되고 있다. -<오마이뉴스>, 2010년 2월25일치 1. 이 글을 참고해 ‘사형’의 뜻을 정리해 한 문장으로 써보세요. 2. 윗글의 (나), (다)의 ㉠, ㉡에 들어갈 접속어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을 고르세요. ① 그런데 - 그 결과 ② 그러나 - 그런데 ③ 그러나 - 이와 같이 ④ 즉 - 그리고 ⑤ 그러나 - 이에 따라 3. 윗글 (가)~(라) 문단에 각각 제목을 정해 보세요. 4. 사형제가 국제적으로 폐지되는 추세로 나아가는 이유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세요.
주제 넓히기 다음 글을 보고 물음에 답하세요.
데이비드 게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