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경태의 글쓰기 홈스쿨
[난이도 수준-중2~고1]
“난 과자 먹는 날이 따로 있다. □□□1) 과자 먹는 날에 아이스크림을 먹기도 한다. 아이스크림과 과자는 맛있다. □□□2) 몸에 좋지는 않다. □□□3) 일주일에 2번씩은 꼭 과자, 아니면 아이스크림을 먹는다. □□□4) 어쩔 때는 날씨가 좋은 날이 과자를 먹는 날이다. □□□5) 그런 날일 때마다 나는 고민한다. 과자를 먹을까? 아이스크림을 먹을까?”
초딩 은서의 글이다. 네모 칸엔 어떤 접속사가 들어가야 적당할까. 이 퀴즈는 어느 포털 지식검색 사이트에서 본 질문 내용을 그대로 흉내 낸 것이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이 문장에는 어떤 접속사를 쓰나요? : 나는 태어나서 처음으로 아버지에게 대들었다. 그 어떤 것보다도 맨날 같은 음식만 먹고 사는 건 싫었기 때문이다. □□□ 아버지는 잠시 방으로 들어가시더니 굳은 표정으로 오천원 한 장을 들고 나오셨다.” 바로 밑엔 누군가의 답변이 달려 있었다. 상황을 시간순으로 살펴볼 때 ‘그러자’가 가장 자연스럽다고 했다. 독자 여러분은 어떠신가. 맨 위의 글까지 포함해서 말이다. 그러나? 하지만? 그런데? 그리고? 그래도? 음,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 나의 답은 단 하나다. “다 필요 없어!” 위의 두 예문 모두 접속사가 없다고 생각하고 읽어보시라. 부자연스러운가?
은서는 맨 위의 글에서 접속사를 남용했다. 네모칸별로 1)하지만 2)하지만 3)그래도 4)그리고 5)그래서 순이다. 중딩 준석도 글을 쓸 때 비슷한 빈도로 접속사를 남발한다. 한 단락에 네댓 개씩 사용하기도 한다. 준석에게 “왜 꼭 그래야 하냐”고 물었다. 대답이 퉁명스럽다. “필요하니까 쓰는 거죠. 연결을 시켜야 하잖아요.” 이 말을 듣자마자 즉각 ‘오더’를 내렸다. “다음번 글은 반드시 접속사를 하나도 넣지 말고 써봐.” 준석은 대뜸 더 까칠한 표정을 짓는다. “아니 그런 걸 글이라고 할 수 있어요?” 당연히,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신문이나 잡지, 소설을 읽을 때 실험해보라. 문장과 문장, 단락과 단락을 매끄럽게 ‘접속’시켜주기 위해 쓰이는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 따위들이 꼭 필요한지. 그것들을 빼고 다시 읽어보라.
꽃밭엔 잡초도 있다. 잡초가 많으면 당연히 꽃밭의 품위는 떨어진다. 나는 접속사가 글밭을 지저분하게 하는 잡초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다르게 비유한다면 공책에 필기할 때 묻는 볼펜 똥 같은 것이다. 잡초를 뽑아주자. 볼펜 똥을 지우자.
1년 전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를 읽었다. 작품성에 대한 찬반논쟁이 있었지만, 전혀 엉뚱한 차원에서 독후감을 말하고 싶다. “참으로 ‘그리고’가 많죠~잉.” 그다음에 읽었던 주원규의 소설 <열외인종 잔혹사>에 대해서도 비슷한 평을 하고 싶다. “엄청나게 ‘하지만’이 등장하지요~잉.” <1Q84>와 <열외인종 잔혹사> 두 소설 곳곳의 잡초를 뽑고 볼펜 똥을 지워주고 싶었다. 3분의 2 정도 치우면 더 깔끔해질 것 같았다.
‘접속사’란 어떤 충동이다. 글을 쓸 때마다 나 역시 그 충동에 시달린다. 여기도 써야 하고, 저기도 써야 할 것 같다. 안 쓰면 괜히 의미가 불명확해지지는 않을까 불안해진다. 정갈한 글을 쓰기 위해서는, 그 충동을 억제하는 습관을 기르는 게 바람직하다.
접속사는 글을 구차하게 만들고 늘어지게도 한다. 명확한 사실이나 근거를 제시할 수 없을 때, 말을 빙빙 돌려야 할 때 찾게 되는 게 바로 접속사다. 요지가 분명하면 ‘접속사’에 의존할 일이 별로 없다. <한겨레> 오피니언넷 부문 기자 k21@hani.co.kr ※ 아이들이 쓴 글을 포함한 이 글의 전문은 아하!한겨레(ahahan.co.kr)와 예스24 ‘채널예스’에서 볼 수 있다.
접속사는 글을 구차하게 만들고 늘어지게도 한다. 명확한 사실이나 근거를 제시할 수 없을 때, 말을 빙빙 돌려야 할 때 찾게 되는 게 바로 접속사다. 요지가 분명하면 ‘접속사’에 의존할 일이 별로 없다. <한겨레> 오피니언넷 부문 기자 k21@hani.co.kr ※ 아이들이 쓴 글을 포함한 이 글의 전문은 아하!한겨레(ahahan.co.kr)와 예스24 ‘채널예스’에서 볼 수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