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대 정이사를 선임하기 위한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30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렸다. 사분위 위원들이 회의장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취재하는 카메라를 교육과학기술부 직원이 손으로 가리려 하고 있다.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사분위, 새달 9일로…옛 재단쪽에 후보 재추천 요구
옛 비리재단의 복귀를 둘러싸고 진통을 겪고 있는 상지대의 정이사 선임이 다음달 9일로 미뤄졌다.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는 30일 회의를 열어 상지대 정이사 선임 방안을 논의했으나, 옛 재단 쪽이 추천한 정이사 후보 명단과 추천 방식을 두고 이견이 제기돼, 다음달 9일 다시 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는 “이날 사분위 본회의에서 정이사 선임을 미루고 옛 재단과 학내구성원 쪽에 다시 한 번 정이사 후보 명단 제출 기회를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분위는 이날 회의에서 5명의 정이사 추천권을 지닌 옛 재단 쪽이 후보로 5명만을 단수 추천한 것은 부적절하므로 2배수인 10명을 다시 추천할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 또 추천을 거부하고 있는 학내구성원 쪽에도 후보 명단 제출을 다시 요구하기로 결정했다.
정이사를 선임하기로 한 애초 계획과 달리, 이날 회의에서 결정이 미뤄진 것은 사분위원 상당수가 옛 재단 쪽의 정이사 후보 명단에 비리로 물러난 김문기 전 이사장과 그의 아들을 비롯한 측근이 포함된 데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한 사분위원은 “옛 재단 쪽이 김 전 이사장을 후보 명단에 포함시킨 것은 부적절하며, 더욱이 단수 추천으로 사분위의 심의권을 침해했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된 것 같다”고 말했다.
사분위는 옛 재단과 교과부, 학내구성원 등 세 주체가 후보 명단을 제출하지 않을 경우, 1기 사분위 시절인 2008년 1월에 제출된 명단을 참조해 8월9일 최종 결정을 강행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교과부도 이번에는 교과부가 추천권을 지닌 2명의 후보 명단을 제출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심상용 상지대 교수협의회 대외협력위원장은 “정이사 최종 선임이 연기됐을 뿐, 옛 재단에 정이사 과반수 추천권을 줘 김 전 이사장의 경영권 회복을 사실상 인정한 사분위 결정은 달라지지 않았다”며 “우리는 명단을 제출하지 않을 것이며, 사분위는 잘못된 결정을 강행하려는 시도를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