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교육

죽은 과거완료를 위한 파반느

등록 2010-08-29 15:56

고경태의 초·중딩 글쓰기 홈스쿨
고경태의 초·중딩 글쓰기 홈스쿨
고경태의 초·중딩 글쓰기 홈스쿨 (19)
[난이도 수준-중2~고1]

“못생겼었다. 그러나 사랑했었다.”

박민규의 소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를 몇 달 전 읽었다. 이 소설은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를 통타하는 명작이었다. 읽는 내내 위트와 통찰이 넘치는 비유들과 독창적인 이야기 전개 방식에 감탄했다. 작가에게 헌사를 바치고 싶다. 딱 하나만 빼고! 이 소설을 한마디로 요약하는 “못생겼었다. 그러나 사랑했었다”는 문장이 그걸 암시한다. “못생겼다. 그러나 사랑했다”고 하지 않고 굳이 동사어미 부분에 ‘었’을 집어넣었다. 이건 ‘엇박자’가 아니라 ‘었박자’다. 었!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얼마 전 이 칼럼에서 몇몇 소설에 관한 사소한 아쉬움을 토로했었다.(‘한 적이 있다’라고 하지 않고 굳이 ‘했었다’라고 써본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에선 ‘그리고’의 과잉을 지적했고, 주원규의 <열외인종잔혹사>를 놓곤 ‘하지만’의 홍수가 부담스럽다고 했다. 오늘 한 가지 더 추가로 고백한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를 보는 동안 잇따라 나오는 과거완료식 표현들이 입 안의 생선가시처럼 걸렸다고. 소설가 박민규님껜 송구스럽지만, 이 소설의 또다른 제목을 <죽은 과거완료를 위한 파반느>라고 지어본다.

“정신없이 한 주가 지나갔었다.” “현실에선 세일과 세일이 이어졌었다.” “그만 멈칫하던 주부의 팔이 닿으면서 와르르 짐이 쏟아졌었다. 한 이십분 난리가 났었다.” “나는 생각했었다.” “나는 술래를 서듯 두 눈을 감았었다.” 소설 속 주인공들의 열정과 파탄에 흠뻑 빠져 책장을 빠르게 넘기면서도, 의구심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도대체 왜 이리 과거완료가 많은 거야? “한 주가 지나갔다”고 하지, 왜 “한 주가 지나갔었다”라고 쓴 거지? “나는 생각했다”고 하면 쉬울 텐데, “나는 생각했었다”는 뭐지? 남자를 얼어붙게 만들었다는 소설 속 추녀만큼, 그 과거완료들도 나를 얼어붙게 만들었다.

중딩 준석과 초딩 은서도 ‘었’중독이다. “내가 예전에 6학년 1학기 기말고사에서 93점을 받은 적이 있었다. 그때 처음 그 점수를 받았을 때는 생각보다 전혀 잘 나온 것 같지가 않아서 매우 실망했었는데.”(준석) “돌을 누가누가 더 멀리 던지냐 시합도 했었다.”(은서) ‘있었다’ ‘실망했었는데’ ‘했었다’에서 ‘었’을 뽑아본다. 더 자연스럽잖아?

고 이오덕 선생은 이에 관해 <우리글 바로쓰기>라는 책에서 일갈했다. “영어 공부를 한 사람들이 영어 문법을 따라 글을 쓰기 때문”이라고. 우리말엔 본래 과거완료가 없다. 좋으면 쓸 수 있다. 몇번을 읽어도 어감이 예쁘지 않아 문제다. “우리말의 자연스러움과 아름다움을 파괴한다”는 이오덕 선생의 비판에 동의한다.

1950년대 쓴 글에서도 과거완료를 만난다. 한국전쟁 때의 일기를 묶은 역사학자 김성칠 선생의 <역사 앞에서>라는 책이다. “절대다수의 지지로 당선이라 선언되었었고, 나중에 꽃다발을 받을 때 보아도 분명히 영예스런 우리의 대표 중에 끼었었고….” “아이들이 클수록 라디오의 필요를 느끼었었고….” 영어를 깨친 1950년대 인텔리의 글 버릇이라고 봐야 할까.


예전 ‘과거사진상규명’이라는 이름이 붙은 단체가 유행한 적이 있다. 난 ‘과거사 진상’이란 말뜻을 달리 풀이하고 싶다. ‘었’으로 괜히 낱말을 비만하게 하는 행위는 과거사를 ‘진상’으로 만드는 셈이라고. 과거를 깔끔 담백하게 처리하자. 쓸데없는 ‘었’은 진상이다.

고경태 <한겨레> 오피니언넷 부문 기자 k21@hani.co.kr

※ 아이들이 쓴 글을 포함한 이 글의 전문은 아하!한겨레(ahahan.co.kr)와 예스24 ‘채널예스’에서 볼 수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