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옥 교총 회장
취임 100일 회견서 입법청원 계획 밝혀
“이념교육 아니라면 전교조와 연대 가능”
“이념교육 아니라면 전교조와 연대 가능”
보수 성향의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12일 교원과 교원단체의 정치활동 허용을 요구하고 나서 파장이 예상된다.
안양옥(사진) 교총 회장은 취임 100일을 맞아 이날 서울 중구 교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입법 청원을 통해 교원 및 교원단체의 정치활동을 추진하겠다”며 “(이와 관련해) 이념교육이 아니라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도 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교총은 2001년에도 교원의 정치활동 방안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지만, 구체적인 요구를 언론에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교육사안에 대해 정치인, 경제학자 출신들이 교육전문가를 자처하며 전문성과 학교현장과 동떨어진 주장을 남발하고 있다”며 “교단 붕괴를 막으려는 고육지책으로 교원의 정치활동 허용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교총이 밝힌 교원 및 교원단체의 정치활동 내용에는 △관련 법 개정 입법청원 활동 △차기 총선 및 대선에서 정당 및 후보자 지지운동 △정당가입 활동과 공직선거 출마의 자유 등이 포함돼 있다. 현행 국가공무원법 등은 교원의 정당가입과 선거에서 특정 후보 지지 등을 금지하고 있다.
교총의 이런 방침은 6·2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진보 교육감들이 체벌 전면 금지, 학생인권조례 등의 정책을 추진하는 데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교총은 전교조와의 연대와 관련해 “국민들이 우려하는 정치 및 이념수업은 결코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큰 틀에서는 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동석 교총 대변인은 “교원이 교육에만 전념할 수 없을 정도로 이미 교육이 정치에 예속돼 있다”며 “대학 교원과 달리 유·초·중등 교원에게 정당가입과 정치활동을 불허하는 것은 과도한 제약”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엄민용 전교조 대변인은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을 위한 초보적인 수준이라면 함께할 수 있겠지만 전교조 활동을 이념편향적이라고 규정하고 폄훼하는 지금 상황에서는 연대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