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학년도 전형계획 발표
총 선발인원 27만7천여명
수시 ‘학생부+면접’ 평가
정원내 45%는 특별전형
총 선발인원 27만7천여명
수시 ‘학생부+면접’ 평가
정원내 45%는 특별전형
현재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치르는 2012학년도 전문대 입시에서는 145개 대학이 27만7085명의 신입생을 뽑는다. 수시모집 인원은 전체의 77.5%인 21만4822명으로 올해 치르는 2011학년도 입시보다 조금 늘었고, 입학사정관 전형 실시 대학도 13곳에서 20곳으로 늘었다.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는 16일 이런 내용의 ‘2012학년도 전문대학 입학전형계획 주요사항’을 발표했다.
■ 모집인원 모두 27만7085명으로 2011학년도 28만2273명보다 1.8%(5188명) 줄었다. 정원내 전형 모집인원은 22만760명, 정원외 전형은 5만6325명이다.
수시모집 비율은 77.5%(21만4822명)로 2011학년도(75.1%)보다 2.4%포인트 늘었다. 입학사정관 전형은 2011학년도 13곳(1303명)에서 20곳(1505명)으로 늘었다.
정원내 모집인원 가운데 45.9%(10만1261명)를 학생들의 특별한 경력·소질 등을 기준으로 하는 특별전형으로 뽑는다.
정원내 특별전형은 수시모집의 52.1%(9만655명), 정시모집의 22.6%(1만606명)를 차지한다.
정원외 특별전형 모집인원은 5만6325명(수시 4만942명, 정시 1만5383명)으로 △전문대·대졸자(2만6738명) △농어촌출신자(8999명)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8850명) △재외국민·외국인(5361명) △만학도 및 성인 재직자(5679명) 등을 뽑는다.
■ 전형요소 수시모집은 일반·특별전형 모두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와 면접을 활용한다.
일반전형을 실시하는 128곳 가운데 97곳은 학생부, 2곳은 면접만으로 선발한다. 특별전형 실시 대학 141곳 가운데 100곳은 학생부만으로, 4곳은 면접만으로, 1곳(서울예술대)은 실기만으로 선발한다.
정시모집에서는 일반전형 실시 대학 145곳 가운데 96곳은 학생부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반영한다. 17곳은 학생부만으로, 16곳은 학생부·수능·면접으로, 4곳은 수능성적만으로 뽑는다. 정원내 특별전형은 대부분 학생부와 면접만 반영한다. 24개 대학의 간호·치위생·물리치료과 등 일부 학과에선 수능성적을 최저학력기준으로 반영한다. 학생부 최저학력기준 적용 대학은 11곳으로, 수시모집에서 모든 학과 또는 일부 학과에서 적용한다. ■ 유의사항 입학사정관제 실시 대학들은 원서를 수시모집 시기보다 1개월 이른 8월1일부터 받는다. 수시모집 기간에는 전문대 간, 4년제 일반대와 전문대 간에 복수지원이 가능하지만, 수시모집 대학(산업대·교육대·전문대 포함)에 지원해 1곳이라도 합격(충원합격 포함)하면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이후 진행되는 모집시기에 지원할 수 없다. 정시모집 기간에도 전문대 간, 4년제 일반대와 전문대 간에 복수지원이 가능하며, 4년제 대학 정시에 합격해도 전문대 지원은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누리집(ipsi.kcce.or.kr)에서 볼 수 있다.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정시모집에서는 일반전형 실시 대학 145곳 가운데 96곳은 학생부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반영한다. 17곳은 학생부만으로, 16곳은 학생부·수능·면접으로, 4곳은 수능성적만으로 뽑는다. 정원내 특별전형은 대부분 학생부와 면접만 반영한다. 24개 대학의 간호·치위생·물리치료과 등 일부 학과에선 수능성적을 최저학력기준으로 반영한다. 학생부 최저학력기준 적용 대학은 11곳으로, 수시모집에서 모든 학과 또는 일부 학과에서 적용한다. ■ 유의사항 입학사정관제 실시 대학들은 원서를 수시모집 시기보다 1개월 이른 8월1일부터 받는다. 수시모집 기간에는 전문대 간, 4년제 일반대와 전문대 간에 복수지원이 가능하지만, 수시모집 대학(산업대·교육대·전문대 포함)에 지원해 1곳이라도 합격(충원합격 포함)하면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이후 진행되는 모집시기에 지원할 수 없다. 정시모집 기간에도 전문대 간, 4년제 일반대와 전문대 간에 복수지원이 가능하며, 4년제 대학 정시에 합격해도 전문대 지원은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누리집(ipsi.kcce.or.kr)에서 볼 수 있다.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