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공개한 5가지 상수값 보니…
고려대의 5가지 상수값이 공개되면서, 고려대가 당시 2등급을 기준으로 그 아래 학생들에게는 가산점을 주고 2등급 위는 오히려 감점을 하는 이중 잣대를 적용한 사실도 드러났다.
당시 고려대 일반전형이 논란이 됐던 원인 가운데 하나는 일반고 안에서도 1등급대 학생이 불합격하고 3~4등급대 학생이 붙는 기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조효완 전국진학지도교사협의회 회장은 “고교등급제를 적용했다면 일반고 학생의 경우 모두 불합격하는 결과가 나와야 하는데, 일반고에서도 등급이 안 좋은 학생이 붙는 사례가 나와 고교등급제라기보다는 입시 사고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는 고려대가 ‘2등급 이상’과 ‘2등급 미만’ 학생에게 각각 다른 식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고려대는 3단계에서 2등급을 기준으로 2등급 이상은 원점수에서 감점이 되는 식을, 2등급 미만은 가산점을 주는 식을 적용했다.
표준편차가 상위 50% 안에 들어 보정이 되더라도 2등급 이상 학생들의 최종 환산점수가 낮아진 것은 이 때문이다. 당시 지방의 일부 외고에서 1~2등급 학생이 떨어지고 3~4등급 학생이 붙는 사례가 나온 것도 같은 이유다. 등급이 낮은 학생들이 합격했던 일반고는 상대적으로 표준편차가 작게 나오는 학교였을 가능성이 크다.
송경원 전 진보신당 정책연구원은 “산출식은 1·2등급이 나오기 어려운 최상위권 외고의 3·4등급 학생들에게 가산점을 주는 것을 목표로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며 “특정 집단을 위해 산출식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표준편차가 작은 명문 일반고나 지방 외고의 1·2등급 학생들이 피해를 본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고려대가 학교별 보정이 아니라 과목별 보정을 채택한 탓에 보정 대상 학생의 과목별 성적에 2등급 이상과 2등급 미만이 뒤섞여 있을 경우 들쭉날쭉한 입시 결과가 나왔을 것으로 보인다. 2등급 이상 과목이 많아 감점이 크면 최종 환산점수가 떨어지고, 2등급 미만 과목이 많으면 가산점이 커 최종 환산점수가 올라가는 식이다.
고려대 쪽이 제출한 준비서면을 보면 소송을 제기한 24명의 학생 가운데 11명의 순위가 하락한 반면 나머지 11명의 순위는 상승하고, 1명의 순위는 변동이 없었던 것 역시 이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