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고·특목고 살리자고 농어촌고·일반고 죽이나”
교육청·학교들 비판 잇따라…교과위 야당 의원들도 “반대”
교육청·학교들 비판 잇따라…교과위 야당 의원들도 “반대”
교육과학기술부가 2014학년도부터 고등학교 내신평가를 절대평가로 바꾸기로 하자 곳곳의 우려가 크다.
민병희 강원도교육감은 15일 “현행 입시제도의 개선이 전제되지 않으면 자율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는 특혜를, 농산어촌 고교와 일반고는 황폐화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절대평가 도입으로 고교 내신 부풀리기와 사교육 증가, 국·영·수 중심의 몰입교육, 교사 평가권 불신, 고교 등급제 출현 등이 우려된다”며 “대입제도와 대학서열화 개선 등의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한 뒤 고교 내신 절대평가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민석 민주당 의원 등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명박 정부 4년 동안 자사고 등 입시 명문고를 대거 양산해 기존의 특목고와 함께 고교 교육을 서열화·계층화시켜왔다”며 “이런 상황에서 (고교 내신의) 절대평가 전환은 자사고와 특목고 살리기 방안이 될 것이고, 고교등급제 도입과 특목고 학생 유치에 혈안이 됐던 주요 대학들의 욕구까지 충족하는 내신 무력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홍동 경기도교육청 대변인도 “일부 대학들이 절대평가를 악용해 특정 학교 학생을 골라 선발하는 경향이 증가할 수 있다”며 “실패한 자사고 정책을 재고하고, 특목고 본연의 모습을 찾는 등의 보완 조처가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전북도교육청도 14일 보도자료를 내어 “내신 빗장이 풀리면 일반고와 농산어촌 고교는 더욱 어려워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학교 현장에서도 우려가 잇따랐다. 전인수 경남 밀양고 교장은 “시범시행을 해보고 농어촌지역 학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며 “내신이라는 장점이 사라지면 농어촌 학교를 이탈하는 현상도 심해져 교육여건이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임성엄 강원 평창고 교장은 “내신 절대평가가 도입되면 농산어촌 고교를 나와 수도권 대학에 진학하기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춘천/박수혁 기자, 이재훈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