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학교 조처 보니
학급교체·접촉금지 등 위주
“교육·치료 프로그램 필요”
학급교체·접촉금지 등 위주
“교육·치료 프로그램 필요”
학교폭력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지만 학교나 교육기관의 조처는 특별교육이나 예방교육보다는 가해 학생에 대한 학급 교체나 전학 등 물리적인 격리 방식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경기도교육청의 2010~2011년 초·중·고등학교 ‘학교폭력 가해자 현황’을 보면, 전체 가해 학생(3597명)에 대한 조처는 학급 교체(31.1%)와 서면사과(21,9%), 접촉 금지(14.1%), 전학(12.4%), 사회봉사(9.4%) 차례였으며, 특별교육과 교내 봉사는 각 5.8%, 0.5%에 그쳤다.
최창의 경기도의회 교육의원은 “가해 학생에 대한 교내 봉사나 특별교육 조처가 적은 것은 학교가 전문 교육 프로그램과 지도 인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가해 학생에 대한 학급 교체 등은 일시적 강제 격리일 뿐이므로 자아성찰, 문제 인식 등을 위한 특별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경기지역 중학교 교사 최아무개(47)씨도 “전학이나 학급 교체 같은 조처로는 아무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며 “가해·피해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이 함께 참여하는 교육·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날 학교폭력에 대처하기 위해 ‘생활인권지원센터’의 운영을 강화하고 학교폭력 실태 조사를 학기별 1회씩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해 ‘교사용 학생생활지도 가이드북’과 ‘스마트폰 굿바이 학교폭력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보급하고, 피해 학생 치유캠프를 운영하며, 교육지원청 9곳에 배치한 ‘스쿨폴리스’(학교전담 경찰관)를 나머지 교육지원청 16곳에도 배치하기로 했다.
고양/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