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26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백석고 학생들이 방과후학교 수업 시간에 디베이트를 하고 있다. 최화진 기자
황연성 교사의 디베이트 정복
② 디베이트와 학습 몰입도
② 디베이트와 학습 몰입도
“선생님, 디베이트 시간에 단계별로 정해진 시간(3~5분)이 너무 짧고 40분이 금방 지나갔어요.”
디베이트 학습을 경험했던 학생과 교사 모두 입을 모아 시간이 부족하다고 말한다. 디베이트 학습의 최대 장점은 학생들이 공부의 주체가 되어 몰입도를 극대화한다는 데 있다.
수업시간에 교사는 ‘설명하는 사람’이고 학생들은 ‘수동적으로 듣는 사람’인 경우가 많다. 학생들이 수동적이면 학습밀도는 줄어든다. 학습심리학자들은 학생의 참여 태도가 학업 성취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 왔다. 학습지도법을 깊게 연구한 베를리너는 학습 시간을 교사가 계획한 수업 시간(allocated time, 주어진 수업 시간), 학생이 학습에 몰입하는 시간(engaged time, 실제로 학습하는 시간), 학구적인 학습 시간(academic learning time, 높은 집중도로 학습에 몰입하는 시간)으로 분류한다.
학습 성과는 학생들이 얼마나 높은 집중도로 학습에 몰입하는지에 달려 있다. 이런 점에서 디베이트 학습은 효과적이다. 실제 디베이트 학습이 학구적인 학습 시간을 높이는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현장에서 13년 동안 절실하게 느끼고 확인했다.
또래 언어로 소통·교감 가능해
능동적 학습 태도 몰입도 높여 학생들이 디베이트 학습을 좋아하고 몰입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베이트 학습은 비공식적이며 자연스럽다. 교사가 주도하는 수업은 수동적인 긴장감이 있지만 디베이트 학습에서는 평소에 친한 친구들끼리 그들의 수준과 언어로 토론하기 때문에 흥겹고 편안하다. 둘째,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교사나 교과서로부터 얻는 정보나 지식은 한정되어 있지만 디베이트 학습 시간에는 논제에 대해 360° 방향으로 다양하고 정제된 정보와 지식들을 교환하기 때문에 몰입도가 높아진다. “더러워진 자동차를 즉시 세차해야 된다”라는 논제는 우리 생활에 바로 연결되는 문제였기 때문에 학생들이 직접 경험한 많은 정보와 지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논제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면 경제적인 논점과 환경적인 측면 그리고 우리 사회의 위장된 지위에 대한 비판을 하게 된다.
셋째, 서로 다른 여러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교사의 설명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정보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함께 공부하는 친구들의 개성이나 그들이 지닌 경험 혹은 지식을 제대로 알 수 없다. 대응관계로 말하면 일대일 관계가 된다. 그렇지만 디베이트 학습 시간에는 30명의 학생들이 저마다 의견을 듣고 말하기 때문에 다대다 관계를 유지한다. 즉 같이 공부하는 학생들 모두가 고유의 정체성을 가진 색다른 사람들로서 만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학생들이 하고 싶어 하는 주제로 디베이트 학습을 할 수 있다. 생소하고 관심 없는 분야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학습활동을 할 수 없다. 하지만 학습 주체가 학생들인 만큼 디베이트 학습 논제를 정할 때에는 학생들의 의견을 물어서 그들과 함께 논제를 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내용으로 수업을 하기 때문에 당연히 몰입도가 최고조에 이르게 되고, 학업 성취도도 극대화된다. 다섯째, 문법이나 형식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말할 수 있다. 디베이트 학습에서의 발표력은 국어 시간에 하는 말하기와는 약간 다르다. 문법 등 형식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국어 시간에 말하기와는 달리 디베이트 학습 시간에는 형식보다는 내용을 중시하기 때문에 마음이 편안한 상태에서 참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찬성 쪽이나 반대 쪽의 입장에서 근거를 대고 설명하기 위해 내용 위주로 말하되 평소의 언어습관대로 말하면 된다. 여섯째, 디베이트 학습에서는 일반적인 학습에서 얻기 어려운 올바른 가치탐구 능력과 태도 탐색 및 정착을 가능하게 해 준다. 토론을 통해 자기 스스로가 생각했던 것들을 점검해 볼 수 있다. 학습이 끝날 즈음에 교사나 학부모가 학습에 대한 감상평이나 논제에 대한 심도 있는 관점을 제시해 줄 수도 있다. 일곱째, 친구들이 하는 말을 귀 기울여 듣게 된다. 상대편뿐만 아니라 자기편의 발표 내용도 잘 알아들어야 하고, 그 내용도 이해하면서 자기가 생각한 것과 비교하며 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경청 능력도 크게 향상된다. 디베이트 학습 시간에 학생들의 몰입도는 최고조에 이른다. 축구를 비롯한 구기경기에서 어떤 한 선수가 한눈을 팔게 되면 패배하는 것처럼 토론게임인 디베이트 학습에서도 전체 학생들이 자기편이건 상대편이건 발표하는 내용을 확실히 인식하고 있어야만 승리와 만족을 체험할 수 있다. 디베이트 학습은 여러 분야에 걸친 논제들을 가지고 학구적인 시간을 극대화함으로써 학력을 높여주는 데 탁월한 학습 패러다임이다. <한겨레 인기기사>
■ “아무리 군인이라지만 너무 치욕스럽다는 생각을…”
■ "MBC뉴스 아무개입니다" 빼버리고 싶었습니다
■ 문재인 지지율, 박근혜 앞섰다
■ 조국 “민주당, 자신감 넘어 오만해지고 있다”
■ ‘나체 결혼식’ 취재 조건, 신부와의…
능동적 학습 태도 몰입도 높여 학생들이 디베이트 학습을 좋아하고 몰입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베이트 학습은 비공식적이며 자연스럽다. 교사가 주도하는 수업은 수동적인 긴장감이 있지만 디베이트 학습에서는 평소에 친한 친구들끼리 그들의 수준과 언어로 토론하기 때문에 흥겹고 편안하다. 둘째,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교사나 교과서로부터 얻는 정보나 지식은 한정되어 있지만 디베이트 학습 시간에는 논제에 대해 360° 방향으로 다양하고 정제된 정보와 지식들을 교환하기 때문에 몰입도가 높아진다. “더러워진 자동차를 즉시 세차해야 된다”라는 논제는 우리 생활에 바로 연결되는 문제였기 때문에 학생들이 직접 경험한 많은 정보와 지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논제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면 경제적인 논점과 환경적인 측면 그리고 우리 사회의 위장된 지위에 대한 비판을 하게 된다.
셋째, 서로 다른 여러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교사의 설명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정보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함께 공부하는 친구들의 개성이나 그들이 지닌 경험 혹은 지식을 제대로 알 수 없다. 대응관계로 말하면 일대일 관계가 된다. 그렇지만 디베이트 학습 시간에는 30명의 학생들이 저마다 의견을 듣고 말하기 때문에 다대다 관계를 유지한다. 즉 같이 공부하는 학생들 모두가 고유의 정체성을 가진 색다른 사람들로서 만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학생들이 하고 싶어 하는 주제로 디베이트 학습을 할 수 있다. 생소하고 관심 없는 분야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학습활동을 할 수 없다. 하지만 학습 주체가 학생들인 만큼 디베이트 학습 논제를 정할 때에는 학생들의 의견을 물어서 그들과 함께 논제를 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내용으로 수업을 하기 때문에 당연히 몰입도가 최고조에 이르게 되고, 학업 성취도도 극대화된다. 다섯째, 문법이나 형식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말할 수 있다. 디베이트 학습에서의 발표력은 국어 시간에 하는 말하기와는 약간 다르다. 문법 등 형식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국어 시간에 말하기와는 달리 디베이트 학습 시간에는 형식보다는 내용을 중시하기 때문에 마음이 편안한 상태에서 참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찬성 쪽이나 반대 쪽의 입장에서 근거를 대고 설명하기 위해 내용 위주로 말하되 평소의 언어습관대로 말하면 된다. 여섯째, 디베이트 학습에서는 일반적인 학습에서 얻기 어려운 올바른 가치탐구 능력과 태도 탐색 및 정착을 가능하게 해 준다. 토론을 통해 자기 스스로가 생각했던 것들을 점검해 볼 수 있다. 학습이 끝날 즈음에 교사나 학부모가 학습에 대한 감상평이나 논제에 대한 심도 있는 관점을 제시해 줄 수도 있다. 일곱째, 친구들이 하는 말을 귀 기울여 듣게 된다. 상대편뿐만 아니라 자기편의 발표 내용도 잘 알아들어야 하고, 그 내용도 이해하면서 자기가 생각한 것과 비교하며 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경청 능력도 크게 향상된다. 디베이트 학습 시간에 학생들의 몰입도는 최고조에 이른다. 축구를 비롯한 구기경기에서 어떤 한 선수가 한눈을 팔게 되면 패배하는 것처럼 토론게임인 디베이트 학습에서도 전체 학생들이 자기편이건 상대편이건 발표하는 내용을 확실히 인식하고 있어야만 승리와 만족을 체험할 수 있다. 디베이트 학습은 여러 분야에 걸친 논제들을 가지고 학구적인 시간을 극대화함으로써 학력을 높여주는 데 탁월한 학습 패러다임이다. <한겨레 인기기사>
■ “아무리 군인이라지만 너무 치욕스럽다는 생각을…”
■ "MBC뉴스 아무개입니다" 빼버리고 싶었습니다
■ 문재인 지지율, 박근혜 앞섰다
■ 조국 “민주당, 자신감 넘어 오만해지고 있다”
■ ‘나체 결혼식’ 취재 조건, 신부와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