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학년도 수능 수험생들은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난이도 변화에 주목하고 대비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영덕 대성학원 평가실장은 7일 교육과정평가원이 실시한 모의수능을 분석해 내놓은 '9월 모의평가 이후 수능 대비전략' 에서 "지난 6월 모의평가에 이어 이번에도 사탐과 과탐 난이도가 지난해 수능에 비해 상당히 어렵게 출제됐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사탐 과탐의 난이도가 높아지면 실제 수능시험에서 당락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진다"면서 "수험생들은 이번 모의 수능 시험의 출제경향과 난이도를 수능 마무리 공부에 참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이 실장이 분석한 수능 대비 전략.
◇취약한 영역을 파악해 보완한다 = 이번 모의 수능 채점 결과와 지금까지의 모의 고사 성적을 토대로 내가 가고자 하는 대학에서 반영하는 영역중 어떤 영역이 취약한지를 객관적으로 판단해 대비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2학기 수시지원 때 참고한다 = 모의 수능 가채점 점수를 토대로 내 위치를 객관적으로 판단해 오는 10일부터 시작되는 2학기 수시지원 때 참고한다.
이번 시험을 그동안 본 교육청 모의고사 성적과 종합하면 앞으로 남은 수시모집 지원여부 결정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된다. 지금까지 본 수능 모의고사 성적을 학생부 성적과 비교해 2학기 수시 지원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러 차례의 수능 모의고사 성적이 3학년 1학기 때까지의 학생부 성적에 비해서 불리하다고 판단되면 2학기 수사는 적극 지원하는 것이 유리하다.
◇모의 수능 성적을 참고자료로만 활용한다 = 이번 모의 수능 점수를 본인의 객관적인 위치 파악에 활용하되 지나친 낙관도 비관도 할 필요가 없다.
모의 수능 결과가 곧바로 실제 수능 시험에 그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70여일 정도 남은 기간에 얼마나 최선을 다하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번 모의 수능시험에 금년 수능 예상 응시자들이 대부분 참가해 지금 시점에서의 본인의 객관적인 위치 파악은 되지만 수능 성적은 앞으로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수능 공부는 지금부터 시작이다. (서울=연합뉴스)
모의 수능 결과가 곧바로 실제 수능 시험에 그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70여일 정도 남은 기간에 얼마나 최선을 다하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번 모의 수능시험에 금년 수능 예상 응시자들이 대부분 참가해 지금 시점에서의 본인의 객관적인 위치 파악은 되지만 수능 성적은 앞으로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수능 공부는 지금부터 시작이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