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부터 교과서 등 학업 뒷받침
실태조사뒤 서울시와 연계해 지원
실태조사뒤 서울시와 연계해 지원
교육 현장에서 배제됐던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을 이어갈 수 있게 서울시교육청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16일 기자회견을 열어 “학교 밖 청소년의 공부를 도우려고 2학기부터 필요에 따라 교과서 등 학습 콘텐츠 제공, 검정고시 멘토링, 문화예술 교육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내년에는 상담사·사회복지사 등이 상주하는 전담 학습지원센터를 세워 본격적인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5월부터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데 따른 것이다.
그간 교육청은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 지원만을 맡아, 학교 밖 청소년들은 지방자치단체나 여성가족부의 산발적인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시교육청은 이들한테 심리·적성·진로검사와 상담을 제공하고, 스스로의 학업 성취도 수준을 가늠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지원을 위한 첫 걸음은 실태 파악이다. 그동안 학교 밖 청소년들과 관련해선 학업 실태는 물론이고 정확한 인원조차 집계되지 않았다. 2012년 교육부 조사에선 전국에 흩어진 학교 밖 청소년이 28만명으로 추산됐다. 허순만 서울시교육청 평생진로교육국장은 “서울에서만 지난해 1만2384명이 학업을 중단했지만 국외 유학 등 다양한 사유가 포함됐고 실제 학업 포기자는 4800여명 정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는 서울시내 학생이 학교를 그만두면, 교육청이 명단을 서울시에 제공하고 이들한테 서울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쉼터 등이 여러 지원책을 연계해주는 방식으로 학습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