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정상화’ 6억5천만원씩 받아
특기자 전형 34%·19%
“대학별 고사 사교육 유발” 비판
특기자 전형 34%·19%
“대학별 고사 사교육 유발” 비판
고려대와 연세대 등 일부 대학이 입학전형에서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방안을 마련한다는 취지로 교육부한테서 수억원의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도 이에 역행하는 입학전형을 운영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교육걱정)은 23일 서울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학교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려대와 연세대가 올해 교육부의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에서 6억5천만원의 지원을 받는 대학으로 선정됐으나 2017학년도 이들 대학의 입학전형은 거의 개선되지 않거나 오히려 악화됐다”며 “이들 대학의 지원금을 회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은 학생들이 학교 교육만 충실히 받아도 해당 대학에 합격할 수 있도록 공교육의 범위 안에서 입학전형을 운영하는 학교들에 재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4년 처음 시행됐다. 앞서 21일 교육부는 올해 총 500억원의 사업 예산을 지원할 대학으로 고려대와 연세대를 포함한 60개 대학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교육걱정이 교육부의 고교교육 정상화 정책을 대학들이 얼마나 반영하는지 파악하려고 서울 소재 15개 대학의 2017년도 입학전형 시행 계획을 (어학 등) 특기자 전형 모집비율·논술 전형 모집비율 등 7가지 기준에 맞춰 분석해보니 일부 대학은 재정 지원을 받고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었다. 2017년도 입학전형에서 연세대의 특기자 전형 모집비율은 33.7%(877명)에 이르고 고려대도 18.8% 수준이다. 사교육걱정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등 특기자전형을 실시하는 9개 대학이 모두 대학별 고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특기자 전형에서 요구하는 외부 스펙과 추가적인 대학별고사는 공교육에서 대비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사교육을 유발한다”고 짚었다.
15개 대학 가운데 한양대와 서울시립대는 논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폐지하는 등 학교 교육 중심의 입학전형을 운영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사교육걱정은 밝혔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