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 산업은행 앞에 모인 전국초등스포츠강사연합회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등 구성원들이 초등스포츠강사 사업에 대한 정규예산 삭감을 규탄하고 대량해고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초등스포츠강사 궐기대회‘를 하고 있다. 2015.8.14 (서울=연합뉴스)
1천여명 여의도 궐기대회
고용 불안과 열악한 처우를 견디던 스포츠 강사들이 들고일어섰다. 전국초등스포츠강사연합회 등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총궐기대회를 열어, 예산 부족을 빌미로 한 대량해고 대책을 주문했다.
스포츠 강사들은 2008년부터 사실상 초등학교 체육수업을 전담해왔다. 1년 중 11개월 계약직으로 2월 한달은 실업수당으로 버텨야 하는 고용 불안, 7년간 임금 동결이라는 열악한 처우도 견뎌왔다. 그러다 7월 정부가 초등 스포츠강사 사업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교육부로 이관하기로 결정한 뒤 사달이 났다. 문체부가 2016년부터 예산을 전액 삭감하기로 한 탓이다. 문화부는 사업 이관을, 교육부는 지방교육재정 부족을 이유로 예산을 서로 떠넘겨 스포츠 강사 1000여명이 해고 위기에 몰렸다.
초등스포츠강사연합회는 “학교에서 필요한 사업인데 어떻게 예산 대책도 없는 교육부로 이관할 수 있느냐”며 “현행대로 최소한 20% 정도는 문체부 예산 투자가 유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스포츠 강사 사태를 보는 교육계의 심정은 복잡하다. 이명박 정부가 서둘러 체육 전담 교사 정책을 밀어붙이며 정규직 교사로 채워야 할 인력을 비정규직 강사로 메꿨다. 근시안적인 정부 정책의 피해를 스포츠 강사들이 떠안은 셈이다. 반면 전문가들은 정규 교육과정인 체육수업을 강사가 아니라 정교사가 맡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 때문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은 임용고시 때 가산점을 주거나 업무를 전환해 스포츠 강사의 일자리를 보장하되, 스포츠 강사 사업 자체는 폐지해야 한다고 본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