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임명제청 거부·불이익에 맞서
전국교수회의 소집·연대투쟁 선언
21일 부산대서 ‘고 교수 영결식’ 열려
전국교수회의 소집·연대투쟁 선언
21일 부산대서 ‘고 교수 영결식’ 열려
전국 9개 거점국립대학 교수들이 교육부의 ‘총장 간선제’ 방침을 거부하고 직선제 회복에 나서기로 결의했다. 교육부의 집요한 간선제 압박에 ‘울며 겨자 먹기’로 투항했던 국립대 교수들이 고현철(54) 부산대 교수의 죽음을 계기로 다시 연대투쟁을 선언한 것이다.
거점국립대학 교수회 연합회는 20일 부산대 교수회관에서 총회를 열어 “대학의 자율성과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교육부의 정책을 거부하고 국립대 총장 간선제 폐지를 위해 총력 투쟁할 것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결의문을 통해 “거점국립대학들은 현재 무작위로 뽑은 추천위원들이 총장을 선출하는 간접선거 방식의 학칙과 규정을 폐지하는 작업을 추진한다. 교육부가 직선제로 선출한 총장의 임명 제청을 거부하거나 불이익을 주면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의 결의를 실현하기 위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이른 시일 안에 전국교수회의를 소집하고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과 연대해 대학 자율성 수호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회에는 부산대를 비롯해 강원대·경북대·경상대·전남대·전북대·제주대·충남대·충북대 등 9개 국립대 교수회가 속해 있다.
연합회 관계자는 “거점국립대학 연합회는 각 대학 구성원들과 함께 학칙 개정 등 논의를 거쳐 총장 직선제부터 부활하기로 했다. 헌법으로 보장된 대학의 자율성을 행정부인 교육부가 막는 것은 불법·위헌적인 것이다. 이번 결의가 교육부의 강압적인 태도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김재호 부산대 교수회장은 “고 교수의 죽음은 단순히 총장 직선제 때문이 아니라 대학의 자유를 가로막은 교육부의 정책 때문에 불거진 비통한 일이다. 대학을 옥죄는 교육부의 정책에 맞서 대학 민주화와 사회 민주화를 일궈내기 위해 전국 대학은 물론 시민들과 함께 연대해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고 교수의 유족들과 부산대 교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고 교수의 영결식을 21일 아침 9시 부산대 10·16기념관(옛 효원회관)에서 치르기로 했다. 장례 명칭은 ‘민주화의 불꽃 고 고현철 교수 전국교수장’이다. 비상대책위원회는 고 교수를 기리는 추모비를 학교 안에 건립할 계획이다.
부산/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